[에너지단열경제]안조영 기자
국내 최대 규모의 수소충전소가 전북 완주의 현대자동차 전주공장에 문을 열고 운영을 시작했다.
전북도는 3일 오후 완주군 봉동읍 둔산리 현대자동차 전주공장 출하대기장에서 수소충전소 준공식을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송하진 전북지사와 완주군 박성일 군수, 안호영, 김성주 국회의원, 문정훈 현대차 전주공장장 등 100여명이 참석해 수소 충전을 시연했다.
완주 수소충전소는 국비와 도비 등 58억원을 들여 구축했으며, 국내 최초로 수소 승용차는 물론 버스, 트럭 등 상용차까지 모든 수소차를 충전할 수 있다.
충전 용량은 시간당 수소 110㎏ 규모다.
1시간에 승용차는 22대, 버스는 3대를 충전할 수 있다.
현재 국내 가동 중인 충전소는 하루 최대 300㎏ 안팎이다.
충전소는 환경부와 전북도가 수소탱크, 압축기, 냉각기 등 설비 구축 비용을 부담했다.
현대차는 충전소 건축비와 부지를 제공했다.
운영은 전북테크노파크에서 운용 비용은 완주군이 부담한다.
현재 전북에는 130여대의 수소 승용차가 운행 중이지만, 그동안 수소충전소가 없어 인근 전남 백양사휴게소나 대전 항하충전소까지 가야 하는 불편을 겪었다.
전북도는 내년까지 전주 4곳과 군산·익산·부안 각 1곳씩 총 7곳에 수소충전소를 추가로 설치하는 등 2030년까지 총 24기를 구축할 계획이다. 수소충전소 인프라 확충에 맞춰 올해 수소 승용차 546대를 포함해 같은 기간 수소 승용차 1만4000대, 수소 버스 400대를 보급할 방침이다.
현재 정부는 수소 승용차 구입 시 차량 가격의 절반 정도인 3650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한편 전북도는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 따라 새만금 대규모 재생에너지단지와 연계한 ‘그린수소 생산 클러스터 구축사업’과 ‘전주-완주 수소 시범도시 조성사업’ 등을 진행하고 있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