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하반기 공사 착공 예정
[에너지단열경제]김경석 기자= 전북 군산 새만금 간척지에 세계 최대 규모 수상태양광 시설을 설치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8일 전기위원회 심의를 거쳐 새만금 수상태양광 발전사업을 허가했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해당 사업의 재원 조달 계획, 발전설비 건설·운영계획, 지역수용성 정도 등을 분석한 결과 전기사업법에 따른 발전사업 허가 기준을 충족했다고 판단했다.
새만금 수상태양광 발전사업은 내년 상반기까지 환경영향평가, 공유수면 점사용허가 등 관련 인허가를 마치고 같은 해 하반기쯤 본격적으로 착공될 예정이다.
새만금 수상태양광 발전사업은 새만금 사업지역 중 상대적으로 개발 수요가 적은 공항 인근 새만금호의 약 30㎢를 활용해 역대 수상태양광 프로젝트 중 최대 규모인 2.1GW의 발전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이곳은 여의도의 10배가량에 달하는 면적이고 약 100만가구에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
이는 준공 기준 세계 최대 수상태양광 발전단지인 중국 화이난시(150MW)의 14배, 지난해 전 세계 수상태양광 설치량(1.3GW)의 1.6배에 달하는 규모다.
새만금 수상태양광이 만들어지면 2030년까지 총 30.8GW의 태양광 확보를 목표로 하는 ‘재생에너지 3020 계획’을 이행하는 데 상당한 도움이 된다.
또 약 273t의 초미세먼지와 100만t의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을 줄이는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새만금 발전단지에는 500만개 이상의 태양광 모듈이 필요해 국내 업계로서는 2조5천억원 규모의 수상태양광 설비·기자재 시장에 참여할 기회가 생긴다.
초대형 수상태양광 발전단지 건설·운영을 통해 얻게 될 경험과 기술력은 국내는 물론 해외시장에서의 대규모 프로젝트 수주에도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새만금 수상태양광 단지 건설에는 약 4조6천억원의 민간 투자자금이 들어가고 연 160만명가량의 건설인력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체의 3분의 2 수준인 1.4GW 규모의 태양광 사업은 ’내부개발·투자유치형‘으로 추진된다. 발전사업자가 수익의 일부를 새만금 매립·산업단지 조성 또는 제조시설 투자 등에 활용하는 것을 전제로 발전사업권 얻는 방식이어서 개발에 필요한 상당 규모의 재원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