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단열경제]이재철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2023년까지 6조원 가량을 투자해 지역난방을 100만 세대에 추가 공급키로 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제5차 집단에너지 공급 기본계획'을 확정해 이달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기본계획은 2023년까지 집단에너지 공급목표를 지역난방은 2018년 기준 311만 세대에서 총 408만 세대로 늘리고, 산업단지 집단에너지는 2018년 기준 46개 사업장에서 51개로 늘리기로 했다.
지역냉방은 2018년 공동주택 65세대에서 2023년 3000세대 이상 공급키로 했다.
산업부는 지역냉난방 설비투자에 2023년까지 약 5조9500억원이 투자될 것으로 예상했다.
산업단지용 집단에너지 신규 설비에는 약 7700억원이 투자될 것으로 전망했다.
계획에는 단열기술 향상에 따라 열사용량 감소 등을 고려해 수도권-비수도권 간 지역냉난방 공급 기준 구분을 폐지하고 검토기준을 단일화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경기 김포나 충남 내포처럼 LNG 열병합발전소를 수요가 높은 수도권과 대도시 인근에 설치하도록 유도키로 했다.
친환경 열공급을 늘리기 위해 벙커C유를 사용하는 열병합발전소도 개선하고, 유연탄 등 고형연료 사용비중이 높은 산업단지 집단에너지의 연료를 친환경 연료로 전환하는 것을 지원키로 했다.
산업부는 집단에너지사업자의 발전용 연료전지 사용도 확대키로 했다.
수도권의 여러 집단에너지 사업자가 열에너지를 서로 연계할 수 있도록 '코리아 히트 네트워크' 프로젝트를 추진키로 했다.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한 스마트계량기와 원격검침기를 개발해 보급하고, 노후 계량기 교체를 추진키로 했다.
산업부는 5차 계획 실행을 통해 2023년까지 에너지 3610만 TOE(석유환산톤) 절감, 온실가스 1억221만톤 감축, 대기환경 오염물질 31만1000톤 감소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