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3일 오후 LG유플러스 서울 종로 직영점에서 LG유플러스 PS부문장 황현식(사진 오른쪽) 부사장이 LG유플러스 갤럭시 S10 5G 1호 고객인 모델 겸 방송인 김민영씨와 카레이서 서주원씨 부부에게 5G 개통 스마트폰을 전달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LG유플러스 제공 |
[에너지단열경제]김경석 기자=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국내 이동통신 3사가 세계 최초로 일반인 5G(5세대) 휴대전화 서비스를 3일 밤부터 시작했다.
이통 3사와 삼성전자는 3일 오후 일정을 전격 수정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협의해 5G 휴대전화 상용화 일정을 앞당겼다.
이통사들이 당초 오는 5일 개통하려던 서비스를 앞당긴 것은 미국 통신사 버라이즌이 예고했던 것과 달리 5일 앞당겨 한국시간 4일 조기 개통할 것이라는 소식이 알려졌기 때문이다.
5G 단말기와 5G 요금제가 모두 갖춰진 상황에서 더 이상 늦출 필요가 없다는 이통사와 정부의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작년 12월 1일 세계 최초로 기업용 5G 상용화에 이어 개인용 5G 서비스도 세계 최초라는 명분을 갖게 됐다.
SK텔레콤은 이날 밤 11시 그룹 엑소(EXO)와 피겨스타 김연아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개통행사를 가졌고, 같은 시각 KT와 LG유플러스도 개통행사를 진행했다.
5G 전송 속도는 1초당 2.2~2.7GB로 4G LTE보다 2배 이상 빨라 가상·증강현실(VR·AR), 클라우드 게임, 초고화질(UHD) 영상 등 첨단 콘텐트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
한편 5G의 세계 최초 상용화를 기념하는 민관 합동 ‘코리아 5G데이’ 행사는 당초 계획대로 오는 8일 개최한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