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올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 분기보다 0.7% 증가했다고 26일 밝혔다.
수출 감소세 속에서 민간·정부 소비에 힘입어 1분기(0.6%)와 비슷한 수준의 성장을 보였다.
민간 소비가 준내구재(의류 등)와 서비스(음식숙박, 오락문화 등) 위주로 전 분기보다 3.0% 증가했다.
정부 소비도 사회보장 현물 수혜를 중심으로 1.1% 늘었다.
건설투자가 0.6% 증가하는 등 소비와 투자가 늘어나 내수의 성장 기여도는 1.8%포인트에 달했다.
수출은 전 분기보다 3.1% 급감하고 수입도 0.8% 줄었다.
수출에서 수입 분을 빼는 순 수출의 성장 기여도는 -1.1%포인트다.
수출이 감소 추세로 접어들며 성장률을 끌어내렸다.
다만 코로나19 거리두기가 해제되면서 소비가 경제 성장을 이끌었다.
교역조건 악화로 2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1% 줄었다.
한편 한은은 지난 5월 올해 연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7%로 제시했으나 다음달 2% 중반 대로 하향 조정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국제통화기금(IMF)도 지난 4월 올해 한국의 연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0%에서 2.5%로 낮춘 바 있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