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단열경제]정두수 기자
기후변화가 우리나라 해수면에 직접 영향을 끼치면서 지난 10년동안 해수면 상승속도가 가파르게 진행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조사원이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변동을 연구하기 위해 30년간(1989~2018)의 연안 조위관측소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19일 발표하면서 지난 30년간 우리나라의 평균 해수면이 매년 2.97mm씩 높아진 것으로 밝혀졌다.
조사원은 2009년부터 연안 조위관측소 자료를 분석해 매년 해수면 상승률을 발표하고 있는데 올해는 30년간 누적된 21개 조위관측소의 자료를 분석해 상승률을 계산했는데 해역별 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제주 부근(연 4.26mm)이 가장 높았고, 이어서 동해안(연 3.50mm), 서해안(연 2.48mm), 남해안(연 2.44mm) 순으로 나타났다.
관측지점별로는 제주가 연 5.43mm로 가장 높았고 울릉도(연 5.13mm), 포항(연 4.55mm), 거문도(연 4.39mm), 가덕도(연 4.22mm) 순이었다.
지난 30년간(1989~2018) 해수면 상승률(연 2.97mm)과 최근 10년간(2009~2018) 해수면 상승률(연 3.48mm)을 비교한 결과 최근 10년간 해수면이 더욱 빠르게 높아졌다.
동해안의 경우 지난 30년간 해수면 상승률이 연 3.50mm에서 최근 10년간 연 4.86mm로, 남해안은 연 2.44mm에서 연 3.59mm로 높아졌고 제주 부근은 소폭 상승(연 0.15mm)하였다. 서해안은 연 2.48mm에서 연 2.02mm로 유일하게 상승률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해양조사원 관계자는 “우리나라 연안의 해수면 상승 현황 분석과 미래 전망은 연안관리와 개발, 국가 기후변화 정책 추진에 중요한 토대가 된다”고 설명했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