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선진국 현지 공장 많은 중국이 미국보다 앞서
KEA, 2013∼2018년 추이 분석
[에너지단열경제]김경석 기자= 한국이 지난해 전세계 전자업계에서 중국과 미국에 이어 3위 생산국의 지위에 올랐다. IT분야의 빠른 성장세에 힘입어 ‘글로벌 IT강국’으로 자리매김한 것이다. 다만 반도체 등 일보 부품에 대한 지나친 편중은 극복해야 할 과제라는 지적이다.
30일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가 발간한 ‘세계 전자산업 주요국 생산동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전자산업 생산액은 1천711억100만달러(약 202조7천억원)로 집계됐다.
전세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8%로, 중국(7천172억6천600달러·37.2%)과 미국(2천454만2천200만달러·12.6%)에 이어 3번째다.
5년전인 2013년(1천111억7천900만달러)과 비교하면 53.3%나 늘어난 것으로, 순위도 일본을 제치고 한 계단 올라섰다.
특히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이 9.0%에 달하면서 상위 20개국 가운데 베트남(11.7%)과 인도(10.9%)에 이어 세번째로 높았다. 중국과 미국은 각각 2.9%와 1.0%였고, 일본은 -2.3%로 후퇴했다.
KEA는 2017년과 2018년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슈퍼호황’ 덕분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역대 최고 실적을 올리면서 전자부품 비중이 큰 폭으로 확대됐다면서 이 덕분에 경쟁국인 일본을 제치고 3위로 올라섰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한국은 지난해 전체 전자산업 생산에서 차지한 전자부품 비중이 77.3%로, 5년 전보다 18.8%포인트나 높아지면서 의존도가 심화됐다.
반도체에 이어 무선통신기기와 컴퓨터가 각각 10.0%와 7.8%로 그 뒤를 이었다.
중국의 경우 가장 비중이 큰 컴퓨터 분야가 전체의 34.2%를 차지했고, 미국도 무선통신기기 분야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나 32.3%로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다. 일본은 전자부품 분야 비중이 56.6%로 가장 높다. 중국이 세계 1위를 지키는 요인 중에는 미국과 일본, 한국 등 기술 선진국들이 중국 현지에 공장을 많이 세워 제품을 생산하기 때문이다.
부문별 순위를 보면 전세계 전자부품 생산에서 한국은 작년 19.2%의 비중으로, 중국(24.1%)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무선통신기기 분야는 4.3%의 비중을 차지하며 중국(46.4%)과 미국(20.0%), 베트남(.8%), 인도(4.4%)에 이어 5번째였다.
또 컴퓨터는 한국이 3.3%로 중국(59.7%)과 멕시코(6.0%), 미국(4.9%), 일본(4.0%)에 이어 5위에 랭크됐다.
그동안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LG전자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연구개발(R&D)과 설비에 적극 투자하면서 한국이 전세계 전자업계에서 두각을 보였으나 반도체 부문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아 중국, 미국 등과 비교하면 기형적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최근 일본의 한국에 대한 소재 수출 규제와 같은 돌발변수가 발생했을 때 충격이 크다.
KEA 관계자는 “어쨌든 반도체는 분명히 높게 평가해야 할 성공 사례이고, 다른 분야가 조금 더디었을 뿐이다”면서 “한국이 좀 더 고르게 성장하려면 제2, 제3의 삼성전자가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