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중량 3.5톤 이상의 중·대형 상용차에 대해서도 온실가스·연비 관리제도가 시행된다.
이는 전체 차량의 3.5% 수준이나 수송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의 22.5%를 차지하는 만큼 감축의 필요성이 요구된데 따른 것이다.
환경부는 2023년부터 2025년까지 3.5톤 이상 중·대형 승합·화물차량에 적용되는 평균 온실가스 기준을 29일 공포했다.
자동차 온실가스 관리제도는 2012년부터 시행 중이다.
현재는 15인승 이하 승용·승합차 및 총중량 3.5t 이하 소형화물차만을 대상으로 했다.
미국은 2014년, 일본은 2015년부터 유럽연합(EU)은 2019년부터 중·대형 상용차 온실가스 관리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이번 지침에 따라 중·대형 상용차 제작사는 국내에 판매되는 차량의 2021~2022년 기준값 대비 2023년 2.0%, 2024년 4.5%, 2025년 7.5%의 온실가스 감축을 목표로 해야 한다.
중·대형 상용차 제작사가 목표를 초과 달성하는 경우 초과 실적은 향후에 미달성분을 상환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다만, 2025년까지는 제도 시행 초기임을 고려해 목표를 미달성하더라도 기준 미달성에 대한 과징금 등 제재 수단은 적용하지 않는다.
수송부문 탄소중립을 촉진하기 위해 전기·수소 기반 트럭·버스 등 친환경차를 판매한 제작사에는 추가 판매실적(크레딧)을 인정해 상용차 부문의 친환경차 전환을 유도한다.
환경부는 이번 지침 제정과 함께 중대형 상용차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자동 산정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업계에 제공한다.
그간 민·관·학이 협력해 국내 실정에 맞는 온실가스 산정 프로그램(HES·중대형차 배출량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했으며 이를 상용차 온실가스 기준 관리에 활용할 예정이다.
김승희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은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중·대형차에 대한 동 제도 도입은 상용차 분야에서도 2050년 탄소중립으로 가는 첫걸음을 내디뎠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라면서 "업계와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제도가 조속히 안착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