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는 19일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에서 우리나라를 최고 등급인 1등급으로 평가했다.
무디스는 최근 세계 144개국에 대한 국가별 ESG 평가 보고서를 발간했다.
각국의 E·S·G 요인이 국가신용등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최종 국가별 ESG 신용영향 점수를 최고 등급인 1등급부터 5개 등급으로 나눠 평가했다.
무디스가 세계 국가들의 ESG 수준을 평가해 보고서를 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미국은 2등급, 일본과 중국은 3등급으로 평가했다.
한국은 환경과 사회 분야에서 2등급(중립적), 지배구조 분야에서 1등급(긍정적)을 받았다.
환경 분야에선 탄소전환, 기후변화, 수자원관리, 폐기물 및 공해, 자연자본 등 다섯 가지 세부항목에서 모두 2등급으로 평가됐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평가에서 환경 분야 1등급을 받은 국가는 없다”고 말했다.
사회 분야는 교육, 보건 및 안전, 기본 서비스 접근성에서 모두 1등급을 받았지만 빠른 고령화 현상으로 인구 분야에서 낮은 평가를 받아 종합적으로 2등급을 받게 됐다.
지배구조는 제도, 정책 신뢰성 및 효과성, 투명성 및 정보공개, 예산관리 등 네 가지 세부항목에서 모두 1등급을 받았다.
ESG 각 요소를 종합적으로 반영한 CIS에서는 한국이 1등급으로 평가받았다.
1등급을 받은 국가는 우리나라 외에 독일, 스위스 등 11개국이다.
무디스는 한국의 ESG 요소가 국가신용등급을 결정할 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ㅇ=망하고 있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