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체 작업 특성상 해외 진출 어려워” 회의론 반응
[에너지단열경제]김슬기 기자=탈원전 정책에 따라 원전해체 산업이 새로운 먹거리로 급부상했다.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정부가 지원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원전해체 특성상 해외 수주가 용이하지 않는 등 정책을 바라보는 시각이 긍정적이지만은 않다.
![]() |
▲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이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3차 경제활력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
17일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3차 경제활력대책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국내 원전해체 시장은 원전 30기를 기준으로 2030년까지 22조 원 이상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며 “2035년까지 글로벌 시장에서 10%의 점유율을 달성해 톱5국가로 도약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초기시장을 창출하기 위해 고리 1호기, 월성 1호기의 해체 물량을 조기 발주하고 기술 고도화를 위한 연구를 강화하겠다”고 말하며 “우리 원전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주요국들과 인력 교류, 공동 연구 등 협력 관계를 공고히 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원전해체연구소, 전문기업 확인제도 도입, 원전해체 세부 기준 조기 마련, 해체 기술 표준 개발 등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에도 주력하겠다”고 의지를 전했다. 원전해체연구소는 원전 해체산업의 허브로 원전이 가장 밀집한 부산, 울산 접경지와 경주에 3만6000여㎡ 규모로 내후년 하반 건설될 계획이다. 비용은 3100억 원이 들어갔다.
![]() |
▲ 원전해체연구소 설립을 위한 업무협약(MOU)이 15일 부산시 기장군 고리원자력본부에서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수력원자력, 각 지방자치단체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왼쪽부터 이선호 울주군수, 송철호 울산시장, 오거돈 부산시장, 강길부 의원(무소속·울산 울주), 정재훈 한수원 사장, 성윤모 산업부 장관, 이철우 경북도지사, 주낙영 경주시장./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
원전해체 산업 육성과 관련해 해외 진출 도모하겠다는 정부의 의지에 일각에선 회의론적인 반응이 나오고 있다. 해체 작업 특성상 해외 시장 진출이 쉽지 않다는 판단이다.
카이스트 정용훈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에너지단열경제>와의 전화 통화에서 “해체 자체는 고급 기술은 아니다”며 “원전을 운영하는 국가라면 얼마든지 잘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지금 정부는 해외에 나가 수주하고 이걸 큰 산업으로 만들겠다는데 지금 그럴 수준이 못 된다”며 “우리가 (수주를) 할 가능성이 없고, 또 (해체산업의) 전체 규모도 크지 않다”고 판단했다.
특히 “우리가 생전 처음 보는 물건을 (해외에) 가서 해체하겠다는 건 우리가 몰랐던 것들이 많이 나올 것”이라며 “(해체 작업은) 그 사정을 잘 아는 해당 국가가 제일 잘 할 거다”고 지적했다.
이어 “해체산업은 우리 원전을 우리가 해체하는 정도면 되는 거다”며 “(정부의 방침은) 말이 안 되는 수준이라고 본다”고 진단했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