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단열경제]이재철 기자
정부가 오는 2025년까지 총 160조원을 투자하는 한국판 뉴딜의 10대 대표과제에 '그린 에너지'가 포함되면서 태양광·풍력·수소에너지 발전 사업이 집중적으로 육성될 것으로 보인다.
11조3천억원이 투입되는 그린 에너지 정책은 재생에너지와 수소 산업 생태계 육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저탄소·분산형 에너지 확산 사업의 큰 틀에서 태양광, 풍력(육상, 해상), 수소 등 신재생에너지 산업 생태계 육성을 위한 대규모 연구개발과 설비 보급을 확대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제3자 전력구매계약(PPA) 등을 골자로 한 녹색요금제도 추진해 기업의 에너지 전환을 유도한다.
정부의 뉴딜 종합계획에는 그린에너지가 10대 세부과제로 선정돼 있다.
그린에너지 분야에 2022년까지 4조5천억원을 투입해 일자리 1만6천개를 창출하고 2025년까지 11조3천억원을 추가 투입해 일자리 총 3만8천개를 만든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태양광·풍력·수소에너지를 그린에너지의 선도 모델로 삼고 있다. 태양광과 풍력은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재생에너지 발전원으로 꼽힌다.
수소에너지 확대는 정부가 힘줘 추진하는 '수소경제'와도 맞닿아 있다.
정부는 우선 태양광 산업 진흥을 위해 주민참여형 이익공유사업을 도입키로 했다.
한국수력원자력과 LS일렉트릭 등이 전남 신안지역 염전에서 추진하는 '비금 주민태양광발전사업' 등이 대표적인 예다.
지역 주민이 직접 사업에 지분을 투자하거나, 발전용 부지를 제공해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사업 모델이다.
농촌·산단 등에 융자 지원도 확대하고, 주택·상가 등 20만 가구엔 자가용 신재생설비 설치비를 지원한다.
이를 통해 현재 12.7기가와트(GW) 규모인 태양광·풍력 발전용량을 2022년 26.3GW, 2025년엔 42.7GW로 늘릴 방침이다.
풍력산업은 입지 발굴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춰 진행키로 했다.
고정식·부유식 대규모 해상풍력단지 구축을 위해 전국 13개 권역의 풍황을 계측하고, 타당성 조사를 지원한다.
이후 배후·실증 단지를 단계적으로 구축해나갈 계획이다.
수소에너지는 2026년 원천기술 보유 국가로 성장하겠다는 계획이다.
생산부터 활용까지 가능한 전주기 원천기술 개발과 수소도시 조성에 주력한다.
수소도시는 2022년까지 울산, 전북 전주·완주, 경기 안산 등 3곳을 먼저 구축하고 2025년까지 3개 도시를 추가 조성할 예정이다.
석탄화력발전소 등 앞으로 사업 규모 축소가 예상되는 곳은 '위기지역'으로 분류하고 신재생에너지 업종으로의 전환을 지원한다.
정부는 그린 모빌리티, 신재생에너지 디지털 관리, 해상풍력 설치 플랫폼 등으로 변모시킨다는 방침이다.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사용하는 'RE100' 캠페인 참여 의지도 높인
다.
배출권 가격에 녹색 프리미엄을 더한 가격으로 재생에너지를 구입하면 온실가스 감축 실적으로 인정하는 '녹색요금제'가 하반기에 도입된다.
기업-발전사업자-한국전력공사 등 3자 간 계약을 통해 재생에너지 전력을 구매하는 제3자 PPA도 도입한다.
정부는 기업의 RE100 참여 이행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전기사업법 시행령을 개정,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와 기업 간의 전력구매계약 허용을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그린 에너지와 사업과 관련해 태양광은 한화, 풍력은 두산, 수소 분야는 효성 등이 분야별 대표 기업으로 향후 상당한 성장세가 예상된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