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비 6천951억원 추가경정예산 편성

환경·정책 / 정두수 기자 / 2020-06-03 11:00:45
저탄소 구조 전환, 녹색산업 혁신 등 그린뉴딜 사업 등 중점

[에너지단열경제]정두수 기자


환경부가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를 극복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비하기 위해 6천951억원을 3차 추가경정예산으로 편성했다.
저탄소 구조 전환과 녹색산업 혁신 등 그린뉴딜 사업에 5천867억원을 투입하고 디지털 뉴딜 171억원, 위기극복을 위한 직접 일자리 창출에 624억원, 기타사업에 289억원이 배정됐다.
환경부는 이번 추경이 기후·환경 위기와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에 대응하기 위한 일자리 창출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하반기에만 약 1만7000여 개의 일자리가 새로 창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직접 일자리 1만2985개, 이 가운데 1만843명은 재활용품 품질개선 지원이다.
코로나19로 최근 플라스틱이나 종이상자 등의 사용이 급증하는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재활용이 가능한 쓰레기를 구분하는 일을 하게 된다.
744명의 야생동식물보호·관리 일자리는 아프리카돼지열병 멧돼지를 감시하는 일을 한다.
환경부는 이번 추경을 통해 전기 화물차와 전기 이륜차 보급을 2배 규모로 확대한다.
경유 화물차는 전체 자동차 미세먼지 배출량의 53.4%를 차지하고 있다.
영세 자영업자, 소상공인, 배달 대행업자 등 취약계층 생계 지원에도 도움이 될 것으러 보고 있다.

추경예산안 환경부 증액 내역(단위:억원)/자료=환경부 제공

 

친환경에너지인 수열에너지 활성화를 위해 공공기관 대상으로 하천수를 활용한 수열 공급·에너지 절감 시범사업도 실시하고, 정수장, 하수처리장 등 전국 약 5200개의 환경기초시설을 대상으로하는 재생에너지 설치 사업도 확대한다.
녹색산업 시장의 분야별 지역 거점단지 조성에도 예산이 추가로 투입된다.
각 거점단지는 연구개발, 실증 시험공간, 사업화 지원시설 등을 갖추게 되고 지역 인프라와 연계해 녹색산업 육성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녹색기업의 창업 지원도 강화하고 성장 가능성이 높은 유망기업들을 선정해 연구개발 단계부터 사업화까지 지원할 방침이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이번 추경에는 그린뉴딜 전략 중 경제 회복 성과 창출이 가능한 단기과제 중심으로 담았다”며 “국회 심의를 거쳐 확정되면 집행 단계에서 최대한의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사업 준비를 철저히 함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