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국민 10명 중 8명이, 원전 소재 지역주민의 대다수가 ‘원자력발전이 필요하다’고 답했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다만 거주하는 지역에 원자력발전소가 건설될 경우, ‘반대할 것’이라는 응답이 55.1%로, ‘찬성할 것’ 42.2% 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원전소통지원센터는 「2024년 에너지 국민인식조사」 결과를 지난 12월 12일 발표했다.
재단은 여론조사기관 ㈜코리아리서치인터내셔널에 의뢰해 분기별(3월, 6월, 9월, 11월) 전국 만 18세 이상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면접원을 통한 전화조사와 반기별(6월, 11월) 5개 원전 소재 지역 만 18세 이상 주민 1,000명을 대상으로 대면조사를 진행하였다.
각 조사의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이다.
조사 결과, 일반 국민 10명 중 8명이, 원전 소재 지역주민의 대다수가 ‘원자력발전이 필요하다’고 답하였다.
2023년 재개한 조사 결과 대비 5.2%p가 증가하였으며, 2023년 조사 이후 상승 추이를 보이고 있다.
구체적으로 일반 국민은 ‘23년 9월 ‘필요하다’ 75.6%에서 ‘24년 11월 80.8%로 상승했다.
원전 지역주민은 23년 10월 ‘필요하다’ 88.1%, ‘24년 11월 88.3%로 비슷했다.
원전 안전성에 대하여 일반 국민 응답자의 69.4%가 ‘안전하다’고 답했으며, 61.9%가 ‘국내 원전의 방사성폐기물의 관리 안전성’에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조사 결과 또한 2023년 조사 이후 상승 추이를 보이고 있다.
원전이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원전 설계‧건설‧운영 등 기술 전반에 대한 신뢰’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불안전하다고 인식하는 이유는 ‘예상외의 사고가 우려되어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국내 원전 계속운전에 대해서는 일반 국민 응답자의 67.9%가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국내 원자력 발전량에 대해서는 58.8%가 현재보다 ‘늘려야 한다’고 응답했다.
거주하는 지역에 원자력발전소가 건설될 경우, ‘반대할 것’이라는 응답이 55.1%로, ‘찬성할 것’ 42.2% 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대 이유로는 ‘방사능 노출에 대한 위험 우려’가 가장 높게 나타난 한편, 찬성 이유로는 ‘에너지 자립을 위해 필요’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응답자의 대다수인 92.1%가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의 마련이 시급하다’고 응답하였으며, 2023년 조사 이후 시급성의 인식의 응답이 상승 추이를 보이고 있다.
적절한 보상 및 안전성이 보장되는 경우, 거주하는 지역에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을 건설 한다면 ‘찬성할 것이다’는 의견은 과반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이용 관련 중요도를 살펴보면, 일반국민은 ‘환경성’(48.8%)을, 원전 소재 지역주민의 경우는 ‘에너지안보’(63.3%)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정보문화재단 노동석 원전소통지원센터장은 “지속적인 미래 에너지를 위해 국민과 소통하며, 국민 신뢰를 기반으로 한 에너지 문화를 만들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