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멸종위기종이자 천연기념물인 희귀 철새 팔색조의 번식 시작 시기가 예년보다 일주일 정도 앞당겨진 것을 확인했다고 28일 밝혔다.
팔색조는 5월 중하순에 제주에 와서 6월 초부터 7월 하순까지 산란한다.
현재까지 가장 빠른 산란기록은 지난 2012년 6월 1일이나 대부분 6월 중하순에서 7월 상순에 집중적으로 산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에 확인된 팔색조는 5월 29일경 첫 알을 낳아 5월에 산란한 첫 번째 기록이 됐다.
모두 6개의 알을 낳았으며, 14일간 포란한 후 6월 17일경 부화했다.
팔색조의 산란시기 변화는 올해 상반기 기온 및 강수량의 변화(평균기온 1℃상승, 강수량 40mm 증가)가 주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팔색조의 이동 시기를 앞당길 뿐 아니라 주요 먹이인 지렁이의 개체 수 증가에도 영향을 미쳐 어미 새의 성숙에 도움을 주었다는 판단이다.
이임균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장은 “기후변화와 산림생태계 환경 변화가 팔색조의 번식에 밀접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앞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관련 자료를 수집해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팔색조는 우리나라 천연기념물 제204호로 멸종위기야생동물로 지정돼 있으며,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이 규정한 국제적 멸종위기종이다.
전 세계적으로 1만 마리 이하의 개체만 생존해 있다고 추정되며 우리나라를 비롯해 중국, 대만, 일본 등이 주요 번식지다.
제주지역에는 약 100쌍의 팔색조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 서귀포 연구시험림 일대에 20쌍 이상의 팔색조가 번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팔색조는 인도네시아 보르네오 등지에서 월동하며 현재 서식지 파괴로 인해 개체군의 감소가 크게 우려되고 있는 상황이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