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보급 확대 위해 구매 보조금 지원 최대 5년 연장키로

경제 / 정두수 기자 / 2020-07-24 11:30:53
환경부, 충전요금 부과 체계도 변경 미래차 가격경쟁력 확보

[에너지단열경제]정두수 기자

 


환경부가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를 위해 충전요금 부과 체계 변경과 함께 구매 보조금 지원 종료 시점을 최대 5년 뒤로 미루기로 했다.
수소전기차 보급을 위해 수소충전소도 확대한다.
환경부가 제시한 '그린뉴딜 정책 방향·주요사업' 자료에 따르면, 미래차 구매지원 물량을 최대 2025년까지 연장키로 했다.
현재 전기차·수소전기차를 중심으로 지급되는 구매 보조금을 2025년까지 계속 시행하고 이후에는 미래차의 가격경쟁력 확보 상황을 보고 검토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2025년까지 전기차 누적 113만대, 수소전기차 20만대 보급을 목표로 잡고 있다.
연간 전기차 보급 목표는 지난해 9만대 수준에서 내년 10만6천대, 2022년 15만7500대, 2023년 18만7천대, 2024년 22만7천500대, 2025년 28만8천대 등이다.
출고가가 높은 전기차의 구매 보조금도 당분간 지원해 보급을 늘릴 방침이다.
올해 7만8천650대에서 2022년엔 14만1천500대, 2025년엔 19만8천대로 확대한다.
보조금 지원 시한은 미국과 유럽연합(EU)의 기준을 참고했다.
환경부측은 유럽과 미국은 2023년~2025년이 되면 전기차와 일반차의 생산단가가 같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환경부가 예상한 미래차의 대중화 목표 시점은 2022년이다.
이 시점까지 친환경차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할 계획이다.

전기차는 현재 승용차와 버스에 국한된 차종을 화물·이륜차·소형굴착기 등으로 확대하고, 수소전기차도 중·장거리, 중·대형 차량을 중심으로 늘린다는 방침이다.
2022년부터 폐지될 전기차 충전료 특례할인도 손 보기로 했다.
이달부터 기본료와 전력요금 할인율이 각각 100%, 50%에서 50%, 30%로 줄었다.
현재는 내년 7월부터 2022년 6월까진 할인율을 10%로 더 낮추고 7월부턴 이 마저도 없애기로 했으나, 특례할인 축소에 따른 소비자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충전료 부과체계도 개선키로 했다
세제 혜택도 연장한다.
전기차 충전 인프라는 2025년까지 급속 1만5천기, 완속 3만기를 더해 총 4만5천기를 구축할 예정이다.
한편 수소전기차는 승용차와 함께 중·장거리 버스와 중·대형 화물차로 보급 차종을 늘린다.
사업용 수소전기차의 연료보조금 지급과 함께 수소 충전 비용을 전기 충전료 수준으로 낮추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수소충전소도 오는 2025년까지 누적 450기 구축을 목표로 시행에 들어간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