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ICT분야에서 국제표준특허 및 국제특허 라이센싱을 통해 최근 3년간 1000억원이 넘는 기술료 수입을 거둔 것으로 알려졌다.
ETRI는 지난해 국제표준제정 46건, 국제표준특허가 반영된 기고 46건 그리고 국제표준화기구 의장석 10석을 신규 확보했다고 14일 밝혔다.
특히 국제표준특허도 70건을 창출해 총 누적 1147건를 보유하게 됐다.
ETRI는 무선통신(LTE·WiFi), 비디오코덱(HEVC·VVC), 방송통신(ATSC3.0) 표준기술 등 관련 기술의 국제표준특허 및 국제특허 라이센싱을 통해 최근 3년간 총 1012억원의 기술료 수입을 얻었다.
표준개발 부분은 전년대비 61%, 의장단 부분은 12% 증가했다.
국내 기관 중 ICT 분야에서는 코로나19 이후 지속해서 우상향해 최고 수준의 국제표준화 실적을 거뒀다.
국제표준특허에서는 5G·6G 지능화·자동화를 위한 이동통신 네트워크 기술 23건, 기계를 위한 특징 부호화 기술(FCVCM) 등 차세대통신분야과 미디어 분야의 시장 수요가 큰 상용표준특허가 다수 포함됐다.
ETRI는 지난 5년간 평균 67석의 국제표준화 의장단을 확보해왔다.
지난해부터는 신규 의장석까지 포함해 총 76석을 확보하게 됐다. 국제표준화 기구의 의장 수임은 해당 그룹의 표준화 방향을 결정하고 의사 결정에 핵심적 임무를 수행하므로 전략기술분야에 대한 의장직이 확대되면 우리나라 의견을 적극 반영할 수 있다.
국제표준 개발에서는 인공지능, 차세대 통신, 초성능컴퓨팅, 첨단모빌리티, 양자, 사이버 보안 등을 포함, 지난해 46건의 국제표준을 제정하는 등 성과를 거뒀다.
ETRI 관계자는 "이러한 성과의 46%가 국가전략기술분야이며, 이 비율은 2025년까지 점진적으로 확대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