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의 건축자재였다가 1급발암물질로 사용금지된 석면

기획·특집 / 이승범 기자 / 2019-10-24 11:59:54
폐암이나 폐증, 늑막 흉막에 악성종양 유발
국내 2009년 사용금지,

최고의 건축자재였다가 1급발암물질로 사용금지된 석면

석면은 뛰어난 단열성, 내열성, 절연성 등이 뛰어나고 마찰에 잘 견디며, 화학약품에 대한 저항성이 강해 건축 내외장재와 공업용 원료로 널리 사용되었다. 건설업, 조선업 등 다양한 제조 분야에서 사용되었으며, 특히 슬레이트 제조업에 많이 활용되었다.
한때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단열재이자 최고의 건축자재로 사용되며 신의 선물이라 불릴 정도였다.
그러나 석면의 유해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사용이 금지되었다.
1987년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가 지정한 1급 발암물질로, 다량 흡입하면 진폐증과 폐암, 후두암, 석면폐 등의 호흡기질환 등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우리나라에서는 2009년부터 사용이 전면 중지됐다.
그러나 석면은 아직도 재래식 주택이나 학교 건물에 남아있어 조속한 철거를 필요로 하고 있다.
더구나 과거 재래식 건물을 철거하면서 땅속에 그대로 묻어버린 경우도 많아 지금도 발암물질에 노출될 위험이 크다.
실제 최근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건설현장에서 1급 발암물질인 석면이 검출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100m 이내 초·중·고등학교가 인접해 있어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바 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민경욱 의원(인천 연수구을)이 한국토지주택공사(LH)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LH 건설현장 중 법정기준치(1%) 이상 석면이 발견된 작업장은 모두 91곳인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공사 전 위탁처리와 공사 중 석면 감리인을 두는 것 외에 별다른 대책이 없고, 전수조사 등 지역 사회의 석면 불안 해소를 위한 적극적인 대책이 없다는 점이다.
이처럼 한때 신의 선물로 불리다 인체에 가장 유해한 제품 중 하나로 전락한 석면은 무엇인가. 

석면은 100만년전에 화산활동에 의해서 발생된 화성암의 일종으로 천연의 자연계에 존재하는 사문석 및 각섬석의 광물에서 채취한 섬유모양의 규산 화합물로 마그네슘이 많은 함수규산염(含水硅酸鹽)을 말하며 아스베스토스(asbestos), 돌솜이라고도 부른다. 수정 같은 화학구조를 가지는 섬유성 무기 물질을 말하며, 사문석이나 각섬석이 섬유 형태로 변화한 천연 섬유이다. 섬유 결정을 위상차 현미경으로 관찰할 때 길이가 5 ㎛ 이상이고 길이 대 폭의 비 (Aspect Ratio)가 3 : 1 이상인 입자상의 물질’로 정의한다. 석면 결정에서 섬유 한 가닥의 굵기는 대략 머리카락의 5000분의 1 정도로 매우 얇다. 광물 조성상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각섬석질(角閃石質) 석면이며, 섬유는 약하지만 화학약품에는 강하다. 다른 하나는 크리소타일(chrysotile)을 주성분으로 하는 석면은 온석면(溫石綿)이라 하여 질이 좋은 것은 직물이나 실로 사용된다. 이러한 크리소타일과 각섬석질 석면은 사문암(蛇紋岩) 중에 맥상(脈狀)을 이루어 산출된다. 흰색, 녹색, 붉은색, 노란색, 푸른색을 띠며 조흔색은 백색이다. 굳기는 2.5-3을 가진다.
캐나다에서 대부분의 산출량이 나오지만, 러시아 연방국가들, 미국의 애리조나주(州), 스위스, 짐바브웨 등지에도 대규모의 석면 광산이 있다. 밀보드, 석면 슬레이트 등의 건축자재, 보온재, 단열재, 방화재(防火材), 내화재(耐火材), 전기절연재, 전해막용재(電解膜用材), 브레이크라이닝 용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왔다. 건설, 자동차 제조 및 가정용품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3,000여 종류에 달하는 공업제품에 사용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석면이 인간의 호흡기관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 보고가 잇따랐다.
호흡을 통하여 석면 가루를 마시면 미세한 크기의 석면이 폐로 들어가 폐암이나 폐증, 늑막이나 흉막에 악성종양을 유발할 수 있다고 밝혀져 세계보건기구(WHO) 산하의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1급 발암물질로 선정하여 발표하였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청석면과 이를 포함한 5개 석면을 전체 무게에 1% 이상 함유한 혼합물질을 취급금지물질로 관리하여 어떠한 용도로든 제조, 수입, 판매, 보관, 저장, 운반, 사용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으며, 백석면 및 이를 1% 이상 함유한 혼합물질을 취급제한물질로 관리하여 석면마찰 제품 및 시멘트제품 용도로 제조, 수입, 판매, 보관, 저장, 운반, 사용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다.
 

<석면으로 인한 대표적인 질환>
 가. 석면폐
폐의 섬유화를 초래하는 진폐증의 일종
- 호흡곤란이 석면노출이 끝난 다음 여러 해 동안 서서히 진행
- 초기는 마른기침, 말기 화농성, 점액성 가래, 피로감, 체중감소
- 폐하엽이나 흉막인접 부위에서 진행
- 병이 진행되면 횡경막이 두꺼워 지고, 석면침착으로 폐 아래-쪽에 진한 음영이 나타남
- 손가락 끝이 뭉툭해지는 지단거대증 발생(환자의 50% 이상)
- 누적노출량 25~100개/cc/year
- 석면노출량과 상관관계
- 5~45% 폐암으로 발전 
 나. 폐암
폐에 암세포의 발생으로 인한 조직의 이상
- 호흡곤란, 피로감, 체중감소
- 누적노출량 25개/cc/year
- 석면노출량과 관계
- 1개/cc/10년 노출 폐암 발생
- 석면폐가 동반하면 석면에 의한 폐암 가능성 높음
- 폐암의 조직형태 : 편편상피암, 선암, 대세포암, 소세포
- 흡연자가 비흡연자보다 50배 이상 큼 
 

다. 악성중피종
흉막 및 복막에 생기는 악성종양
- 복부통증, 복부팽만, 가슴통증, 호흡곤란, 피로감, 식욕감퇴
- 급속진행 발병 후 1년 이내 사망
- 백석면 1개/cc/year에서 10만 명 노출군에서 5명 발생
- 석면노출의 지표 질환
- 석면 노출량과 관계가 희박하며 소량, 단기 노출에도 질병을 일으킬 수 있음

 에너지단열경제 / 이승범 기자 kienews@naver.com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