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 이미지
광주광역시가 ‘2022년 지역의 미래를 여는 과학기술 프로젝트 사업’ 공모에 선정돼 국비 47억5,000만원을 확보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 주관하는 지역연구개발혁신지원 사업이다.
각 지자체가 제출한 사전기획과제에 한해 선정하며 지역 발전에 필요한 핵심기술의 기획 및 연구개발을 지원해 지역의 자생적 연구개발 혁신체계 구축과 연구개발특구 기반 연구개발 등을 지원한다.
광주시는 광주과학기술진흥원 연구개발지원단을 통해 ‘인공지능 기반 메타버스 구현을 위한 융·복합 문화 스튜디오’를 사전기획과제로 신청 후 9개 지역과 경합해 최종 3개 과제를 선정 받았다.
시각특수효과(VFX) 배경과 캐릭터 생성, 콘텐츠 강화 기술 등 메타버스 요소기술 개발, 핵심 알고리즘, 데이터 등을 제공할 서비스 기술 확대, 리빙랩 기반 스튜디오 개발 등이다.
이번 사업은 3년간 메타버스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이후 2년간 기술사업화를 위해 메타버스 플랫폼과 서비스 지원, 기술이전 등 총 5년간 추진된다.
선정 과제는 광주과학기술원을 중심으로 한국전자기술연구원, CJ올리브네트웍스, 메가존클라우드, 인트플로우, 티맥스AI, 에이프리카, 특허법인 이노,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 광주과학기술진흥원 등 10개 기관의 컨소시엄으로 진행된다.
광주시는 이번 사업으로 광주가 국내 메타버스 서비스 공급의 중심 지역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인공지능(AI)·3D·시각특수효과(VFX) 등 기술융합을 통해 광주 주력산업을 혁신하고 대기업, 중견기업과 함께 지역기업이 해당 기술개발의 성과를 공유해 지역 내 메타버스 산업 생태계가 활성화 된다는 것이다.
메타버스 생산 클러스터 표준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AI-메타버스 융합도시 조성’이라는 목표에도 한발 더 나아갈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