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단열경제]안조영 기자
정부가 올해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한 지원사업을 공고했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2020년 신재생에너지 보급지원사업’을 20일 공고한 후 설비 신청 접수를 받는다고 밝혔다.
지원 규모는 전년 대비 337억원 증액된 2,282억원으로 주택 650억원, 건물 350억원, 융복합 1,122억원, 지역 160억원 등이다.
이번 사업은 자가소비를 목적으로 태양광, 태양열 등 신재생에너지설비를 주택 등에 설치하는 경우 설치비를 보조받아 에너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올해에는 다중 이용시설 지원 확대, 고효율·친환경·중소기업 제품보급 확대, 설비 안전성 강화, 주택·건물의 태양광 보조금 상향 등을 중점 추진한다.
복지시설, 마을회관, 스포츠시설 등 다중 이용시설 신청사업을 우선 지원해 신재생에너지 설비 설치지원 혜택을 보다 많은 국민이 누릴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공공임대주택 지원대상에 행복주택을 추가하고, 연료전지도 설비지원 대상에 추가하는 등 사회복지 분야 지원도 확대한다.
태양광 모듈 최저효율제(17.5% 이상)의 보급지원사업 적용을 통해 건물옥상 등 유휴공간의 이용효율을 높이고, 소재·부품 R&D를 통해 발전효율이 향상된 설비까지 사업지원 대상에 포함했다.
탄소인증제 적용제품의 보급이 확대될 수 있도록 탄소배출량이 낮은 제품에 대한 우대방안을 2020년 7월 예정인 탄소인증제 시행에 맞춰 도입할 계획이다.
보급사업 참여 시공업체 선정 시 중소 제조기업 제품구매 실적제출 업체에 가점을 부여해 신재생 보급 확대가 중소기업 지원에도 기여하도록 했다.
태양광발전 설비의 안전성도 더욱 강화했다.
강화 내용은 전문자격을 보유한 기술자가 작성한 설계도면에 따라 시공토록 하고 융복합지원사업 신청 시 감리업체를 포함시켰다.
태풍 등 재해로 인한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3kW 초과 태양광 설비는 전문가의 안전·적정성을 확인받아 설치토록 하며 설비 폐기까지 전기안전공사 정기점검을 받도록 했다.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실시간 관리 및 대응을 위해 소규모 주택지원사업을 제외한 모든 보급사업에 REMS(발전량·고장여부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및 전송) 설비를 설치하도록 했다.
지원수요가 가장 많은 태양광 발전설비에 대해서는 코로나19에 따른 수요위축 가능성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주택·건물 지원사업의 태양광 보조금을 현행 30%에서 50% 수준으로 상향한다.
정부보급사업 참여업체를 사칭해 신청자 피해가 발생하는 사례에 대비해 에너지공단 내 소비자피해 콜센터를 운영하고, 정부보급사업 참여업체 정보제공과 유튜브 홍보 동영상을 제작해 피해예방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주택지원사업의 경우 올해부터는 지역주민이 거주하는 지자체도 상시 접수하고 검토할 수 있도록 사업추진 방식을 보완했다.
지자체가 주민자치회의 보급사업 참여 및 주민수익 창출형 모델을 사업내용에 포함해 신청하는 경우, 국토부 도시재생 뉴딜사업으로 선정된 지역, 에너지 자립마을(에너지공단 인증) 고도화 신청 기초지자체는 융복합지원 대상사업 선정 시 우대할 방침이다.
상세한 내용은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 또는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