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역세권 ‘컴팩트 도시’ 본격화…공릉역 일대서 첫선

건설·부동산 / 김슬기 / 2019-06-27 13:26:30
서울시, 올 하반기 역세권 복합개발 사범 시업 실시
일반주거지역 용도 상향해 공공시설 등 설립
컴팩트 시티 개념 /서울시 제공

 

[에너지단열경제]김슬기 기자=시 전역 역세권에 도시 기능과 거주 공간이 집약된 ‘컴팩트시티’가 서울시에서 윤곽을 드러낼 예정이다. 공릉역을 필두로 시는 5곳에서 시범사업을 추진해 미세먼지 등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도심을 활성화하겠다는 의지를 다졌다.

27일 서울시에 따르면 ‘역세권 활성화 추진계획’에 따라 올 하반기 7호선 공릉역 주변 등에서 복합개발 시범사업이 실시된다.

직주근접이 가능하고 대중교통 사회기반시설이 갖춰진 역세권을 중심으로 ‘컴팩트 시티’를 만든다는 내용이다. 컴팩트 시티는 도시 기능과 거주 공간을 집약한 도시 공간 구조를 일컫는다.

역세권은 지하철, 국철, 경전철 등의 역 승강장 경계로부터 반경 250m 이내에서 블록으로 설정된 구역으로 현재 서울 시내에는 총 307개 역세권이 있으며, 총면적(55㎢)은 서울시 시가화 면적(370㎢)의 약 15%에 달한다.

해당 계획에는 상당수의 시내 역세권 지역 노후화, 비활성화된 현실이 반영됐다.

서울시 관계자는 “역에 인접할수록 노후건축물과 차량통행이 불가능한 필지 비율이 높은 역세권이 많다”라며 “역세권은 지가 대비 낮은 용적률로 인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이면부 위주로 신규개발이 이뤄지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시는 역세권 일반주거지역을 상업지역 등으로 용도 상향해서 용적률을 높여주고, 증가한 용적률의 반을 공공기여로 받아 공공 임대시설이나 어린이집, 문화시설, 공용주차장 등 지역에 필요한 시설을 설립한다는 방침이다.

개발 대상지에 부합하려면 8m 이상 차도를 한 곳 이상 접해야 하고 3000㎡ 이상의 블록으로 구성, 1000㎡ 이상의 단일 필지여야 한다. 용도지역 취지에 부합하지 않거나 역사도심 같이 상위계획상 지역보존이 필요한 곳은 제외된다.

서울시는 올해 안에 5개 역세권을 대상으로 사범 시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먼저 7호선 공릉역 개발사업이 서울도시주택공사의 시행으로 진행된다. 나머지 4개 사업은 미정이다. 시는 사범 시업 성과를 보고 2020년부터 확대 시행한다고 밝혔다.

공릉역 사업지는 도시계획의원회 심의를 거쳐 용도지역을 제3종일반주거지역에서 근린상업지역으로 변경한 뒤 공공임대주택, 상가, 공용주차장 등을 확충할 계획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직주근접이 가능하고 대중교통 인프라가 잘 갖춰진 역세권을 중심으로 컴팩트시티를 구현해 살기 좋은 지역으로 만들겠다”라며 “교통, 미세먼지 문제에 대응하고 일자리 증가와 균형발전 등 다양한 효과가 기대된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