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승우 연세대학교 생명공학과 교수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3월 수상자로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뇌를 외부물질로부터 보호하는 혈뇌장벽을 모사한 장기칩을 개발해 난치성 뇌 질환 연구의 지평을 넓힌 공로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인공 뇌는 뇌 연구를 위해서 줄기세포를 배양하거나 재구성해 만드는 체외 모델로서, 배양 시스템의 한계로 인해 기존의 연구는 태아 뇌 수준의 발달 단계에 머물러 있다.
조 교수는 뇌 조직 환경과 유사한 삼차원 배양 매트릭스와 인공 뇌 중심부까지 산소와 영양분을 원활히 공급할 수 있는 핵심 칩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기존 방식 보다 구조적으로 성숙하며 신경 기능이 증진된 신생아 뇌 수준의 실험용 인공 뇌 제작에 성공했다.
외부 물질과 병원균을 선택적으로 투과하여 뇌를 보호하는 혈뇌장벽을 모사한 장기칩 제작에도 성공했다.
뇌혈관세포와 신경줄기세포 사이에 혈뇌장벽 장기칩을 구현하고, 뇌 염증을 유발하는 병원성 곰팡이균의 감염 실험을 진행하여 균의 뇌 침투 기전 및 관련한 유전자 규명에 성공했다.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은 우수한 연구개발 성과로 과학기술 발전에 공헌한 연구개발자를 매월 1명씩 선정해 과기정통부 장관상과 상금 1000만원을 수여하고 있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