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학교 정지훈 교수팀, 동아시아 지역 폭염과 가뭄의 동시 발생 현상 메커니즘 규명

기후변화 / 안조영 기자 / 2020-11-27 14:14:24
'양(+)의 기후 되먹임 작용' 작동, 동아시아 돌이킬 수 없는 기후변화 이미 시작

연구자료 그래프/전남대학교 제공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공학부 해양환경전공 정지훈 교수 연구팀이 최근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폭염과 가뭄의 동시 발생이 급증하는 현상의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연구팀은 북반구 나무 나이테를 이용한 과거기후 복원자료와 지면모델링 결과를 바탕으로 이 같은 결과를 얻어냈다.
정 교수와 펭 장(Peng Zhang) 박사후 연구원의 주도하에 광주과학기술원·유타주립대·도쿄대·스웨덴 예테보리대·베이징대 등이 공동연구팀으로 참여했다.
공동연구팀은 나무 나이테 자료를 이용해 동아시아 내륙에서 토양수분과 폭염발생 빈도를 복원한 결과, 최근 이 지역 여름 기후가 전례 없는 수준으로 뜨겁고 건조하게 급변하는 사실을 밝혀냈다.
지구온난화로 지표면의 수분증발이 늘어나면서 토양 속 수분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며 나타난 결과다.
토양 수분의 결핍은 폭염 발생 때 대기를 더욱 뜨겁게 달구고, 고기압마저 유도해 폭염의 강도를 증폭시킨다.
이 상황이 다시 토양을 더욱 더 건조하게 하는 '양(+)의 기후 되먹임 작용'이 작동한 것으로 연구팀은 분석했다.
'기후 되먹임'이란 기후변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을 말하며 원래의 과정을 증폭시키는 것을 '양(+)의 되먹임', 감소시키는 것을 '음(-)의 되먹임'이라고 한다.
연구팀은 "이 같은 기후변화는 과거 260년을 대상으로 한 분석기간 동안 전례가 없는 강력하고 돌발적인 수준이다"며 "동아시아에서 돌이킬 수 없는 기후변화가 이미 시작됐을 수 있다"고 밝혔다.

                                    정지훈 교수 정 교수는 "급격한 기후변화는 반 건조지역인 몽골 지역과 중국 북부 지역에서 강하게 나타나지만, 우리나라도 결코 안전하지 않다"고 강조한 뒤 "실제 2016년 8월 거의 3주에 걸쳐 한반도를 숨 막히게 했던 폭염 현상은 동아시아 내륙의 폭염·가뭄의 영향이다"고 밝혔다.
정 교수는 현재 '기상청-전남대 가뭄특이기상연구센터' 센터장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가뭄의 변화, 장기예측 등을 연구하고 있다.
이번 연구결과는 27일 세계적인 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됐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