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 통제실 모습/한수원 제공
한국수력원자력이 가상발전소(VPP)를 만들어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제도’에 참여하고 있다.
발전량 예측제도는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출력 변동성을 대응하기 위해 지난해 10월부터 시행되고 있다.
한수원은 축적된 신재생에너지 설비 운영 데이터와 새로이 구축한 가상발전소를 통해 발전량 예측제도에 참여하고 있다.
한수원은 ‘신재생e 통합관제센터’를 구축해 설비 용량이 20㎿ 이상인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 등이 예측 발전량을 하루 전에 제출해 당일 오차율이 8% 밑이면 킬로와트시(㎾h)당 3~4원의 정산금을 지급한다.
한수원은 향후 외부 신재생에너지 설비도 모집해 발전량 예측제도 참여 용량을 확대할 방침이다.
또 가상발전소 시스템 운영 능력 향상을 통해 예측 정확도를 높이고, 전력 중개 사업 분야의 새로운 사업 모델로 확산시킬 계획이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