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이전 국내 석탄발전소 가동 중단 시 1만8000여명 조기 사망 막을 수 있다

이슈분석 / 정두수 기자 / 2021-05-12 14:21:59
‘파리협정에 부합하는 대한민국 탈석탄 정책의 건강 편익 평가’ 보고서 공개


2030년 이전에 국내 석탄발전소 가동을 중단할 경우 약 1만8000여명의 조기 사망을 막을 수 있다는 국제 연구기관의 분석이 나왔다.
정부 계획인 2054년까지 가동하면 최대 2만3000명의 조기 사망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국제 기후연구기관인 클라이밋 애널리틱스는 12일 ‘파리협정에 부합하는 대한민국 탈석탄 정책의 건강 편익 평가’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는 정부 계획대로 석탄발전소를 2054년까지 가동하면 최대 2만3000명이 조기 사망 위험에 노출될 것이라고 밝혔다.
석탄발전소는 초미세먼지(PM 2.5)는 물론 수은과 같은 중금속도 다량 배출한다.
초미세먼지는 심혈관계와 호흡기 질환, 암과 조산 등을 유발한다.
수은과 같은 중금속은 뇌를 비롯한 신경계에 손상을 준다.
현재 국내에는 56기의 석탄 발전소가 운영되고 있고, 신규 석탄 발전소 7기가 건설 중이다.
클라이밋 애널리틱스가 국내에서 가동 또는 건설 중인 석탄발전소 63기의 폐쇄 시나리오를 경제성(발전 비용)과 환경성(탄소 집약도) 기준에 따라 검토해본 결과, 어떤 기준으로 하든 조기사망자 수의 큰 차이는 없었다.
다만 경제성을 기준으로 석탄발전소를 폐쇄해야 한다면 현재 삼척과 강릉 등에 건설 중인 신규 석탄발전소는 가동 시작한 뒤 불과 4년 안에 문을 닫아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클라이밋 애널리틱스의 최고 책임자인 빌 해어는 “우리 분석은 한국이 파리협정의 1.5℃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2030년 탈석탄 정책을 추구하는 것이 기후뿐 아니라 공공보건을 위해서도 이익이 된다는 것을 분명하게 보여 준다”며 “한국의 2030년 탈석탄은 석탄으로 인한 대기오염이 일으키는 조기 사망을 단 5년 이내에 절반으로 줄이는 등 즉각적인 이익을 안겨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클라이밋 애널리틱스는 지난해 2월 한국이 1.5℃ 이내로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을 제한하기로 한 파리협정의 목표 달성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2029년까지 석탄발전소를 전부 폐쇄해야 한다는 분석 결과를 내놓은 바 있다.
우리 정부도 ‘2050 탄소 중립’을 위해서는 2030년 이후로는 모든 석탄발전소 가동을 중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정부는 2030년에도 여전히 석탄발전소 42기(약 31GW)를 운영하겠다는 계획이다.
기후솔루션 박지혜 변호사는 “이번 연구는 신규 석탄발전 건설을 지속하는 것이 ‘비경제적’인 사업일 뿐 아니라 시민들의 건강과 기대 수명을 앗아가는 ‘비윤리적’인 사업이라는 것을 여실히 보여 준다”며 “시민의 건강을 담보로 하는 신규 석탄발전 사업을 지금이라도 중단하고 재생에너지 사업으로 전환하기 위한 사회적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석탄화력발전소에 의한 대기 오염 사망자는 예상대로 석탄발전소 인근에서 많이 발생할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2054년까지 계획대로 석탄발전소가 가동될 경우 관련된 조기 사망자가 많이 나오게 될 지역으로 10개 도시를 꼽았다.
광양, 보령, 순천, 동해, 홍성, 하동, 구례, 곡성, 사천, 삼척 등이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