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출처=연합뉴스 |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규모가 국내총생산(GDP)과 비슷한 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계부채 증가폭은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컸으며, 소득 대비 빚 부담도 빠르게 증가했다.
8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지난해 말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97.7%로 1년 전보다 2.9%포인트 상승했다.
조사 대상 43개 주요국 가운데 상승폭이 중국(3.8%포인트) 다음으로 컸다. 경제 규모에 비교해 볼 때 가계부채 증가 속도가 그만큼 빨랐다는 의미다.
한국보다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높은 나라는 스위스(128.7%), 호주(120.3%), 덴마크(115.4%), 네덜란드(102.0%), 캐나다(100.7%), 노르웨이(99.9%) 등 6개국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소득 대비 빚 상환 부담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작년 말 한국의 가계 부문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은 12.7%를 기록했다. DSR은 특정 기간에 갚아야 할 원리금이 가처분소득과 비교했을 때 어느 정도인지를 나타내는 수치다. 가계부채의 위험 지표로 높을수록 가계의 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 부담이 크다는 의미다.
지난해 한국의 가계부문 DSR은 17개국 중 6위다. 하지만 상승률은 전년 대비 0.6%포인트 올라 1위였다. 17개국 중 DSR이 오른 나라는 한국을 제외하고 △캐나다(0.3%포인트) △호주(02.%포인트) △프랑스(0.1%포인트) 뿐이다. 미국, 일본은 1년 전과 같았고 나머지 11개국은 낮아졌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