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환경 문제 선제적 대응 위한 ‘환경기술개발 추진전략(2021~2030)’ 수립

정책 / 정두수 기자 / 2021-12-29 14:29:10
환경부, 3대 추진전략 및 하위 8대 중점영역의 30개 중점 추진기술 도출

환경기술개발 추진전략 모델/환경부 제공

 

환경부가 지속가능한 녹색사회를 이끌고 미래 환경 문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연구개발 추진 방향을 담은 ‘환경기술개발 추진전략(2021~2030)’을 29일 수립했다.
국내외 정책·기술과 투자동향 분석, 미래사회 전망에 따른 환경 쟁점과 대안을 도출하고 추진 방향 설정과 함께 중점 추진사업을 수립하는 차원이다.
추진전략에는 환경기술 혁신으로 지속가능한 녹색사회 견인을 비전으로 탄소중립 이행기반 마련, 녹색 기반시설 강화, 환경 안전사회 구축 등 3대 추진전략과 하위 8대 중점영역에 대한 30개 중점 추진기술이 도출됐다.
탄소중립 이행기반 마련 전략은 탄소중립-순환경제 간 연계성을 고려한 기후기술 및 자원순환 기술의 통합관리가 주 내용이다.
기후변화 예측 고도화, 온실가스 감축으로 기후변화 완화, 순환경제 활성화 등 3개 중점영역으로 구성됐다.
녹색 기반시설 강화 전략은 국가 물순환 및 통합물관리를 지원하는 스마트 물관리 기술을 비롯해 생태서비스와 국토 환경분야 녹색 기반시설 구축을 주요 내용한다.
물순환 및 수생태계 보전, 수자원 및 수재해 관리, 국토환경 생태계 서비스 가치 향상 등 3개 중점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환경안전사회 구축 전략은 국민체감도와 생활환경질의 중요성을 고려해 대기·실내공기분야를 환경보건, 화학안전과 함께 안전사회 구축을 주요 내용으로 환경성 질환 및 환경유해인자 스마트관리와 국민체감 청정공기 및 실내공기질 관리 등 2개 중점영역으로 구성됐다.
환경부는 이번 전략에서는 국제적 문제로 떠오른 탄소중립 실현과 그린뉴딜 등 국내 현안에 대응하고 4차 산업 기술 등 최신 환경여건이 반영됐다고 밝혔다.
한편 환경부는 이번 추진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올해 초부터 산업계, 학계, 연구계 전문가로 구성된 환경기술 미래전략 기획위원회를 운영해 왔다.
기획위원회는 미래 환경전망 및 환경 분야 중장기 연구개발 추진 방향을 검토하고 기후대기 등 5개 분야별 분과위원회를 구성하여 세부전략 및 과제 등을 논의해 왔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