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 연간 1조원 효과 그린리모델링 돌입

경제 / 안조영 기자 / 2020-05-13 14:42:36
노후 공공 건축물의 에너지 성능 개선 기대

[에너지단열경제]안조영 기자 

 

국토교통부가 매년 5000동의 노후 공공 건축물의 에너지 성능을 개선하는 그린리모델링에 돌입한다.
연간 기대효과는 1조원이다.
그린리모델링은 노후화로 에너지 효율이 저하된 기존 건축물의 단열·기밀·설비 등을 개선하는 사업이다.
에너지 효율 제고를 통한 에너지 절감으로 온실가스 감축에 따른 지구온난화를 예방하는 기본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13일 그린리모델링 우수사례인 대전 소재 한국수자원공사 물사랑 어린이집을 찾아 건축물 에너지성능, 공기질 등 생활환경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 그린리모델링의 활성화 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간담회에는 우원식, 윤관석, 박홍근, 박영순 국회의원과 함께 변창흠 LH 사장, 박재현 수자원공사 사장 및 그린리모델링 사업자 등이 참석했다.
수자원공사 물사랑 어린이집은 국토부 공공부문 그린리모델링 지원 시범사업을 통해 2015년에 준공됐다.
단열보강 및 로이복층유리 창호, 냉난방기, 강제환기장치 설치 등을 적용하는 전면 리모델링을 통해 에너지 22.2%를 절약한 성공모델로 손꼽힌다.
정부는 지난해 제로에너지건축 의무화 등의 내용을 담은 ‘제로에너지건축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고 신축 건축물에 대한 에너지 성능 확보 기반을 구축했다.
우리나라 건축물 720만동 중 약 75%인 540만동이 15년이 지난 노후 건축물로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 생활만족도 저하 등의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노후 건물은 단열성능 저하 문제 뿐만 아니라 결로·곰팡이 등으로 거주자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국토부는 LH를 그린리모델링 센터로 지정하고 공공부문에 대한 컨설팅을 지원하고 있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그린리모델링의 확산을 위해 공공과 민간부문을 구분해 지원하는 맞춤형 전략의 필요성이 논의됐다.

공공부문지원사업

 

공공부문에서는 선도사업 추진과 함께 에너지성능이 낮은 건축물에 대한 그린리모델링 의무화 로드맵 수립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민간부문의 경우 에너지소비가 많은 단독주택과 소규모 건축물을 대상으로 한 이자지원사업 확대 등 보다 다양한 사업이 요구된다는 의견이 나왔다.
김현미 장관은 “매년 3000동의 노후 건물을 리모델링할 경우 연간 8만톤의 온실가스 감축과 190억원의 에너지 비용 절감이 예상된다”면서 “해마다 7600개 일자리 창출과 1조원 이상 경제 효과뿐 아니라 전염성 호흡기 질환 감소 등으로 국민건강 증진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