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단열경제]안조영 기자
왼쪽 뒤부터 시계방향으로 송학현 박사과정, 오지훈 교수, 탄잉촨 박사 후 연구원, 이범려 석사과정./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지구온난화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에틸렌이나 에탄올 같은 산업적 고부가가치를 지닌 다탄소화합물로 전환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KAIST 신소재공학과 오지훈 교수 연구팀은 이산화탄소 전기화학 환원 반응 시 값싼 중성 전해물(전해질)에서도 다탄소화합물을 선택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공정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중성 전해물을 사용해 구리(Cu) 촉매 층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조절했다.
이를 통해 기존 공정과 비교해 각각 이산화탄소 전환율은 5.9%에서 22.6%로, 다탄소화합물 선택도는 25.4%에서 62%가량까지 대폭 높아진 공정과 촉매 층 구조를 확인했다.
이산화탄소를 전기화학적으로 환원 반응시키면 수소·일산화탄소·메탄 등 다양한 물질이 동시에 생성되는데 그중 2개 이상의 탄소로 구성된 다탄소화합물이 산업적으로 중요한 가치로 인해 주목을 받고 있다.
기존 연구는 탄소화합물의 선택도를 높이기 위해 주로 알칼리성 전해물에 의존해 새로운 촉매 개발에 집중해왔다.
문제는 알칼리성 전해물이 부식성과 반응성이 커 이를 적용한 기존 공정은 유지비용이 비싸고 촉매 전극의 수명도 짧다는 점이다.
연구팀은 기존과 달리 구리 촉매 층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오히려 감소시켰다.
성능이 떨어진다고 여겨왔던 중성 전해물에서 기존에 보고된 연구 성과를 뛰어넘는 고성능을 보여줬다.
중성 전해물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된 전극은 10시간이 넘도록 일정하게 높은 다탄소화합물의 선택도와 생성량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또 이산화탄소의 물질이동 모사 모델의 결과를 활용해 구리 촉매 층의 구조와 이산화탄소 공급 농도·유량을 제어한 결과 촉매 층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도 성공했다.
그 결과 내부의 농도가 최적일 때 다탄소화합물의 선택도가 높아짐을 확인했다.
오지훈 교수는 "연구팀이 발견한 촉매 층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와 다탄소화합물의 선택도 간의 관계는 그동안 촉매 특성에 치우쳐있던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동시에 산업적 활용에서 공정 유지비용 절감은 물론 촉매 전극 수명 연장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