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처가 음식과 함께 일인당 하루 평균 16.3개의 미세플라스틱을 먹고 있다고 밝혔다.
식품의약처는 국내 유통 중인 해조류, 젓갈류, 외국에서 미세플라스틱 오염이 보고된 식품 등 11종, 102품목을 대상으로 2020∼2021년 미세플라스틱 오염도와 인체 노출량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 미세플라스틱 오염도와 식품 섭취량을 토대로 계산했을 때 식품을 통한 미세플라스틱 섭취량은 일인당 하루 평균 16.3개였다.
주로 검출된 미세플라스틱의 재질은 폴리에틸렌(PE)과 폴리프로필렌(PP)이었다.
미세플라스틱이 가장 많이 검출된 제품은 젓갈로 1g당 6.6개다.
최소 검출 제품은 액상 차로 1㎖당 0.0003개 수준이었다.
검출된 미세플라스틱은 대부분 300㎛ 미만의 크기였으며, 45∼100㎛ 사이의 미세플라스틱이 가장 많았다.
다만 식약처는 지금까지 알려진 미세플라스틱의 독성정보로 분석할 때, 이 정도의 섭취량은 건강상 영향을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지난 2019년 식약처에서 하루 6만개의 미세플라스틱을 28일간 경구투여하는 동물실험을 한 결과 독성학적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세계식량기구(FAO)도 조개류를 통한 미세플라스틱 하루 섭취량은 1∼30개로 추정되지만 유해한 영향이 나타난다는 증거는 없다고 밝혔다.
식약처는 조리 전 미역, 다시마 등 해조류를 세척하고, 바지락 등 조개류를 해감하면 미세플라스틱의 상당량을 제거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한편 미세플라스틱은 화장품 등의 재료로 사용하기 위해 제조되거나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등이 미세하게 분해돼 만들어진 5mm 이하의 작은 플라스틱 입자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