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대는 진정호 첨단소재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목재 펄프에서 뽑아낸 천연고분자 셀룰로스를 이용해 생분해가 가능한 식품포장용 투명필름을 개발했다.
이번 필름은 식품 선도 유지에 필수적인 산소 차단성을 높이고, 물에 잘 젖지 않으면서 자연 분해가 가능하다.
기존 나노셀룰로스 필름은 소재 자체의 높은 친수성으로 인해 물에 잘 젖었다.
이 때문에 합성플라스틱 필름을 코팅해 사용하는 만큼 생분해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수중대향충돌 방식으로 나노셀룰로스를 대량 제조해 나노셀룰로스 투명필름을 제작했다.
가정용 프라이팬 표면에 적용된 것과 유사한 발수·발유 코팅 박막을 적용해 셀룰로스 특유의 물에 약한 성질을 보완하면서도 생분해가 가능하도록 했다.
현재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라면 포장재 등은 외부 산소나 수분의 침투에 의한 식품의 산패를 방지하기 위해 PET, OPP 등 합성플라스틱 필름에 알루미늄 금속 박막을 덧씌운다.
재활용이 안되는데다 소각 과정에서 미세먼지, 유독가스 등 다량의 유해 물질이 발생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합성플라스틱을 대체할 수 있는 만큼 일회용 포장재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는 디딤돌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진정호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필름은 물 속에서 20분 이상 내수성을 유지하면서도 생분해가 될 수 있다"며 "식품 선도 유지에 필수적인 산소 차단 성능도 기존 합성플라스틱 필름 못지않게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연구 논문은 유기고분자화학 분야 상위 학술지인 `카보하이드레이트 폴리머`(Carbohydrate Polymers) 12월호에 게재됐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