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수준과 비슷하게 온실가스 배출을 지속하는 고탄소 시나리오를 가정할 경우 개나리, 진달래, 벚꽃의 개화시기가 21세기 후반기에는 각각 23일, 27일, 25일 앞당겨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즉, 2월 달에 진달래와 벚꽃이 필 수 있다는 것이다.
기상청이 이 같은 내용의 우리나라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봄꽃 3종(개나리, 진달래, 벚꽃)의 개화일 전망 분석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지난해 발표한 우리나라 고해상도(1km)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과거 2, 3월 평균기온과 봄꽃 개화일의 상관관계를 적용한 것으로 우리나라 6개 지점을 대상으로 분석했다.
온실가스를 현저히 감축해 2070년쯤 탄소중립에 도달하는 저탄소 시나리오와 현재 수준과 비슷하게 온실가스 배출을 지속하는 고탄소 시나리오로 나누어 전망했다.
기상청은 봄꽃 개화일을 1991~2020년과 비교해 21세기 전반기(2021~2040년), 중반기(2041~2060년), 후반기(2081~2100년)에 각각 5~7일, 5~13일, 10~27일 앞 당겨질 것으로 봤다.
온실가스를 눈에 띄게 줄이는 저탄소 시나리오에서는 10~12일, 기온 증가폭이 큰 고탄소 시나리오에서는 21세기 후반기에 23~27일 빠라질 것으로 분석했다.
개나리보다 늦게 개화하는 진달래가 21세기 후반기에는 개나리와 동시 개화하거나 오히려 더 빨리 개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진달래의 경우 고온현상이 이어지면 일찍 개화하는 특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봄철 이상고온현상으로 봄꽃 개화가 동시에 나타나는 현상이 많아지고 있다.
지역별로는 고탄소 시나리오에서 21세기 후반기 개화일이 대구가 30일 가량 당겨질 것으로 예측됐다.
진달래는 서울이 35일, 개나리는 인천이 29일 각각 개화시기가 가장 많이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청은 1950~2010년대까지의 60년 동안 봄꽃 개화일이 3~9일 빨라진 것과 비교해 앞으로의 60년은 훨씬 폭이 큰 23~27일 더 빨라질 것으로 보고 있다.
또 봄꽃 개화시기가 당겨지는 것은 우리나라 봄의 시작일이 빨라지고 입춘, 경칩과 같은 봄 절기의 기온이 급상승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