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 악취 스마트 관리시스템/환경부 제공
환경부가 스마트 하수도 사업 대상지 33곳을 선정한 후 4년 동안 3324억을 투입해 하수도 분야 스마트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하수도 스마트화 사업은 안전하고 깨끗한 물 환경 조성을 위해 하수처리 전 과정에 최신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실시간 관측과 원격 제어·관리 등을 도입하는 것이다.
이번 사업은 지난해 7월 발표한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가운데 하나인 ‘깨끗하고 안전한 물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방안 중 하나다.
사업은 스마트 하수처리장과 스마트 하수관로(도시침수 대응·하수악취 관리), 하수도 자산관리 등 4개 분야로 추진된다.
스마트 하수도 사업 개요/환경부 제공
스마트 하수처리장 구축은 ICT 기반 계측·제어로 하수처리공정을 최적화해 안정적으로 하수를 처리하고 에너지도 절감하는 사업이다.
올해 6곳에 이어 내년에 7곳 등 총 13곳에 시설을 구축한다.
스마트 도시침수 대응사업은 하수관로에 ICT를 접목해 실시간 수량 관측과 제어시스템 등을 구축하는 것이다.
침수피해를 사전에 예측하고 대응하는 사업으로 2023년까지 5곳의 지자체에 구축한다.
스마트 하수악취 관리는 하수관로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실시간으로 측정·관리한다.
2023까지 지자체 5곳을 대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
환경부는 전체 스마트 하수도 사업 대상지 33곳을 선정해 올해부터 4년 동안 모두 3324억원을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스마트 하수처리장 13곳은 향후 2년간 총 484억원(국비 242억원), 스마트 하수관로 대상 10곳의 지자체에는 3년간 총 2천636억원(국비 1천845억원), 하수도 자산관리 대상 10곳의 처리장에는 2년간 204억원(국비 143억원)이 지원된다.
하수도시설 자산관리 시스템/환경부 제공
환경부는 ‘스마트 하수도 사업’으로 약 2천208개의 일자리 창출과 연간 온실가스(CO2) 6천545톤의 감축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재현 환경부 물환경정책국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하수도가 기피 대상이 아닌 최첨단 기술이 적용되는 도시 물 관리 기반시설로 인식이 전환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하수도 분야 스마트 기술 도입이 촉진돼 물 산업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라고 밝혔다./정두수 기자
사진1=스마트 하수도 사업 개요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