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트럼프에 개성공단 필요성 언급
기업인 “비핵화 위한 공감대 형성…재개되지 않을까”
![]() |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월 30일 판문점에서 만났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일 보도했다. 사진은 중앙통신이 홈페이지에 공개한 것으로, 미국 대통령으로는 사상 처음으로 군사분계선(MDL)을 넘은 트럼프 대통령이 판문점 북측 지역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악수하는 모습. [출처=연합뉴스] |
[에너지단열경제]김슬기 기자=개성공단 재개 여부가 전면에 재부상하고 있다. 남·북·미 정상의 판문점 만남에 교착 상태에 빠졌던 한반도 비핵화 및 항구적 평화 정착에 훈풍이 불면서 기업인들이 거는 기대가 고조되고 있는 분위기다.
업계는 지난달 미국을 방문해 미 하원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명회 등의 성과와 더불어 이번 회동을 통한 삼국의 평화 의지 표출에 조만간 개성공단 재개가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2일 개성공단기업협회 이종덕 부회장은 <에너지단열경제>와의 전화통화에서 “이번 판문점에서 상상 못 할 일이 일어났는데 미국도 이제는 개성공단이 어떤 역할을 해왔고, 어떤 가치가 있는지 인식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달 29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일본에서 개최된 G20 정상회담 첫 날 SNS를 통해 DMZ를 방문하고 싶다는 의사를 표시했다.
이에 북한은 이날 최선희 북한 외무성 제1 부상 담화를 내고 긍정적인 입장을 밝혀 양국 정상 간 만남이 성사됐다.
30일 트럼프 대통령은 문 대통령과 DMZ를 방문했고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개성공단에 대해 “한국 자본과 기술이 들어간 곳”이라며 “남북 경제에 도움이 되고 화해 분위기 조성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또 “(북한이) 전방 부대를 개성공단 북쪽으로 이전했다”라며 “한국 안보에도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판문점으로 이동한 트럼프 대통령과 문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깜짝 회동한 뒤 북·미 정상회담을 가졌다. 북·미 정상은 제1차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때보다 더 긴 약 한 시간 동안 대화를 나눴다.
문 대통령은 이번 북·미 회담과 남·북·미 정상 회동이 북한과 미국의 적대를 종식했다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2일 국무회의를 통해 “남북에 이어 북미 간에도 문서상의 서명은 아니지만 사실상 행동으로 적대 종식과 새로운 평화 시대의 본격 시작을 선언했다”라고 밝혔다.
이어“세계를 감동시킨 북·미 정상 간의 판문점 회동은 트럼프 대통령의 SNS를 통한 파격 제안과 김정은 위원장의 과감한 호응으로 이루어졌다”라며 “제안과 호응은 상식을 뛰어넘는 놀라운 상상력의 산물”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이라는 실로 어려운 역사적 과제를 해결하는데도 끊임없이 상상력의 발동이 필요하다”라고 덧붙였다.
답보상태였던 북미 관계에 훈풍이 불면서 개성공단 재개도 조만간 이뤄질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이 부회장은 “(이번 회담을 통해 미국이) 비핵화로 가기 위해선 개성공단과 같은 장소가 필요하다는 것에 공감했다고 생각한다”며 “북·미 간 서로 간의 실익을 위해서 개성공단이 재개되지 않을까 한다”고 판단했다.
더불어 이 부회장은 지난달 중순 개성공단 폐쇄 3주년을 맞아 입주기업인들이 미국을 방문한 것에 대한 성과를 언급하며 재가동에 한 발 더 다가선 상태라고 진단했다. 개성공단 기업인들은 6월 10일부터 16일까지 방미 대표단을 구성해 미국 하원 외교위원회 아시아태평양소위원회에서 개성공단 재개 필요성과 실태를 알리는 설명회를 가진 바 있다.
이 부회장은 “방문 전 미국 측은 개성공단이 어디 있는 줄도 모른 채 개성공단=북한=핵으로만 인식하며 그냥 CVID(완전한 북핵 폐기)로 간다는 얘기만 하던 상태였다”고 운을 뗐다.
하지만 “(방미 대표단은 설명회를 통해) 개성공단은 단순한 공단이 아니고 분단체제를 평화체제로 바꾸는 데 남북이 최초로 합의한 협력이고, 이 본질은 평화라고 강조했다”라며 “개성공단을 재가동시키는 것이야말로 비핵화의 선순환임을 납득시켰다”고 당시 상황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 “(설명회 이후) 브레드 셔먼 (아시아-태평양 소위원회) 위원장의 말이 바뀌었다”며 “설명회 다음 날 북한 포럼을 통해 셔먼 위원장 입에서 직불제, 투명성을 갖춘다면 개성공단이 재개되어도 좋다는 얘기까지 나왔다”고 미국 방문 성과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면서 기업인들의 방북 승인이 조만간 이뤄질 거라고 내다봤다.
이 부회장은 “앞서 통일부에서 방북 승인을 해줬지만 북한의 답이 없던 상태였다”며 하지만 “북한도 개성공단 재개를 강하게 원했었고 판문점 회담과 같은 분위기를 계속 이어나가려고 할 것이기 때문에 7월 중으로 승인이 이뤄지지 않을까 한다”고 점쳤다. 문을 닫은 지 3년 4개월이 훌쩍 넘어가고 있는 개성공단에 대해 기업인들은 정부에 9번 방북 신청서를 냈고 5월 17일 처음으로 승인을 받았다. 그러나 북측의 별 반응이 없어 현재까지 이들 기업인은 방북을 못 하는 상황에 있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