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화웨이 봉쇄’ 나선다…실효는 ‘미지수’

IT·전자 / 김슬기 / 2019-05-16 15:18:13
美 행정부, 국가 안보 위협 통신장비사 제재 골자로 행정명령
화웨이 미 시장 의존도 미미…외신 “전 세계 60% 장악할 것”

[에너지단열경제]김슬기 기자=미·중 양국의 관세 전쟁이 본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 화웨이를 겨냥한 트럼프 정부의 거래 제한 행정명령이 전격 발동됐다.

다만 해당 업체가 전체 매출 중 미국 시장서 가져가는 수익이 0.2%도 못 미치는 상황에서 미국의 이런 제재는 실효가 크게 없을 전망이다.  

 

▲  화웨이 로고/ 화웨이 홈페이지

 

 

◆ 美, 화웨이 표적 행정명령 발동
현지시각 기준 15일 트럼프 대통령은 ‘자국의 국가 안보와 자국민의 보안·안전에 용인할 수 없는 위험’을 끼칠 수 있는 기업의 장비를 구매 또는 사용할 수 없도록 금지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새라 허커비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인 이날 성명을 내고 “행정부는 미국의 정보통신 기술 인프라와 서비스에 취약점을 만들어내는 해외의 적들로부터 미국을 보호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행정명령은 미 기업이 일부 외국 공급업자들과 거래하는 것을 금지할 수 있는 광범위한 권한을 연방정부에 부여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미국 정부는 직접적으로 기업명을 지칭하지는 않았지만 그간 ‘반화웨이’ 정책을 촉구해온 점을 미뤄보면 타킷이 화웨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미국 상무부는 다른 정부 기관들과 협력해 150일 이내에 시행 계획을 수립할 방침이다.

또한 이날 서명 직후 상무부는 화웨이를 비롯한 70개 계열사를 거래 제한 기업 명단에 올리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 美 의존도 미미한데…압박카드 통할까
이 같은 미국 강경책에 정작 화웨이는 당황하지 않는 모습으로 이번 제재가 크게 실효성이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FT에 따르면 이번 결정에 앞서 데이비드 왕 화웨이 투자검토이사회 의장은 “우리는 세계적으로 운영하는 기업이다”며 “어떤 나라에서 큰 변화가 있더라도 우리는 여전히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다만 행정명령 서명 직후 화웨이는 공식 입장문을 통해 “미국 내에서 사업하는 것을 제한한다고 해서 더 안전해지거나 강해지는 것은 아니다”며 “이러한 불합리한 규제는 심각한 법적 문제들을 일으킬 수 있다”고 언급했다.

실제로 화웨이의 미국 시장 의존도는 미미한 규모다. WSJ에 따르면 작년 전체 매출 1,070억 달러 중 미국으로부터는 얻은 매출은 2억 달러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집계됐다. 0.2%에 불과한 수치다. 현재 미국에서 일하는 화웨이 직원은 전체 18만 명 중 약 1,200명 수준으로 알려졌다.

더불어 화웨이의 미국 사업 대부분은 농촌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현지 소규모 통신사업자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기에 제재가 가해지면 미 사업자가 더 큰 피해를 볼 수 있는 상태다. WSJ에 따르면 미국 농촌 지역 통신사업자들이 장비를 교체하게 되면 1400만~5700만 달러의 비용이 들 것으로 추산된다.

또 뉴욕타임스 등 외신은 “미국 내에서 화웨이 장비 사용이 금지되더라도 전 세계 네트워크의 40~ 60%를 화웨이가 장악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실제로 영국, 독일 등 유럽과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일부 국가들은 시장 경쟁력이 뛰어나 일부로 배척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공표한 상태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