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단열경제]차성호 기자
물분해 수전해 촉매 작동 원리
친환경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물 분해의 원천기술인 촉매 관련 특허출원이 늘어나고 있다.
특허청에 따르면 물 분해 촉매 관련 기술이 현재까지 총 70건이 출원된 것으로 나타났다.
출원된 특허는 국내 출원인의 비중이 94.3%로 물 분해 촉매에 대한 기술개발이 국내 기관에 의해 주도되고 있었다.
KIST나 한국화학연구원(KRICT) 등의 국책 연구소와 포스텍 등 국내 대학이 전체 86%(57건)를 차지했다.
세부기술로는 물 분해 촉매 중에서는 빛에너지에 의해 물이 분해되어 수소를 생산하는 ‘광촉매 관련 기술’이 전체 출원의 51%(36건)에 달했다.
물의 전기분해에 의해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용 촉매에 관한 기술’은 40%(28건)를 차지했다.
유기물, 금속 황화물, 복합 금속 성분 등의 새로운 광촉매 물질을 개발하는 기술과 백금족을 대체하는 수분해 신규 촉매 개발 등이 특허 출원에 집중됐다.
그동안 광촉매에 관한 출원이 많았으나 2014년 이후 수전해용 촉매에 관한 출원이 늘어나면서 지난해에는 10건으로 크게 증가했다.
재생에너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수전해 방식 등으로 그린 수소 생산을 하는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편 현재 수소는 90% 이상 석유나 천연가스로부터 개질해 제조하고 있어 이산화탄소 등의 환경오염 물질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