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학상 2명, 박부견 포스텍 전자전기공학과 교수와 이영국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교수
젊은과학자상 4명, 서인석 서울대 수리과학부 부교수, 함유근 전남대 지구환경과학부 조교수, 박정원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조교수, 주영석 KAIST 의과학대학원 조교수
아래 왼쪽부터 서인석, 함유근, 박정원, 주영석 교수/과기정통부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연구재단, 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 함께 2020년 한국과학상, 한국공학상, 젊은과학자상 수상자로 총 8명의 과학자를 선정했다.
한국과학상은 김범식 고등과학원 수학부 교수와 박규환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 두 명이다.
김범식 교수는 우주에서 발견된 서로 무관해 보이는 현상들이 거울에 비치는 것처럼 관련이 있음을 나타내는 이론인 ‘거울대칭’ 이론의 세계적 권위자다.
거울대칭 현상에 대해 공간의 대수 기하학 이론인 ‘콰시맵’을 창안해 수학과 물리학을 아우르는 관점에서 거울대칭 이론을 설명할 수 있는 길을 연 것으로 평가된다.
박규환 교수는 모든 빛을 반사 없이 매질 내로 투과시키는 것이 가능함을 이론적으로 규명했다.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특성을 갖도록 설계된 물질을 의미하는 ‘메타물질’로 제작, 실험했다.
완전 무반사 기술과 스텔스 기술, 광통신, 태양전지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는 기술이다.
한국공학상에는 박부견 포스텍 전자전기공학과 교수와 이영국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교수 2명이 선정됐다.
박부견 교수는 가상물리나 지능형 전력망, 원격진단, 가상현실 등 시스템에 존재하는 다양한 시간지연 요소를 극복하기 위한 수치적 접근 방법을 제안했다.
이영국 교수는 고망간 TWIP강을 국내 기업과 함께 개발·양산해 자동차에 적용하고 차체 경량화 및 안정화 향상에 기여했다.
TWIP강이란 기존 강철 대비 강도는 높으면서 연성이 뛰어난 소재다.
고망간강 연구결과를 학술지에 게재하는 등 학술적 업적 또한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40세 미만 연구자에게 수여되는 젊은과학자상은 서인석 서울대 수리과학부 부교수와 함유근 전남대 지구환경과학부 조교수, 박정원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조교수, 주영석 KAIST 의과학대학원 조교수 4명이 수상했다.
서인석 교수는 물리, 화학이나 인공지능에서 나타나는 ‘메타안정성’ 분석 방법론을 개발했다. 함유근 교수는 기상 이변을 유발하는 엘니뇨에 대한 예측 모형을 인공지능 딥러닝 기법을 응용해 개발했다.
박정원 교수는 기존 투과전자현미경의 한계를 극복하고 액상에서 개발 입자의 구조를 각각 원자분해능 수준에서 분석이 가능하게 만든 연구를 수행했다.
주영석 교수는 비흡연자의 폐선암에서 발견되는 돌연변이의 특성을 밝혀냈다.
한편 한국과학상(1987년)과 공학상(1994년)은 자연과학 및 공학 분야에서 세계 정상 수준의 연구 성과를 이룬 과학기술자를 포상해 기초과학 및 과학기술 연구진흥을 도모하기 위해 제정됐다.
수상자에게는 대통령상과 연구장려금 7000만원이 각각 수여된다.
젊은과학자상은 1997년부터 대통령상과 연구장려금 5000만원을 수여하고 있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