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기연구원(KERI)이 차세대 전력전송 기술로 손꼽히는 초고압 직류송전(HVDC) 분야 전력기기를 시험·인증하는 HVDC 전력기기 국제공인 시험인프라 구축에 나섰다.
총 185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KERI 창원본원 부지 내에 올해 4분기 중 착공해 2023년 완공 한다.
인프라가 구축될 경우 그동안 시험을 받기 위해 해외를 찾았던 국내업체들의 비용과 시간 부담을 덜어줄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기업들의 제품 개발기간 평균 3.9개월 단축, 해외 시험비용 연간 15억 원 절감, 부대비용(운송비, 체재비 등) 1억 원 절감 등의 효과가 예상된다.
HVDC(High Voltage Direct Current)는 발전소에서 생산된 대용량의 전력을 고압 직류로 변환해 원거리까지 전송하는 기술이다.
직류송전은 장거리 전력 공급 과정에서 지중과 가공 모두 교류(AC) 대비 선로 손실이 매우 작아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위상과 주파수 등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국가 또는 이종 계통 간의 전력전송도 쉽다.
비상상황 시 이웃 계통과의 연계로 블랙아웃의 위험성도 낮출 수 있으며 시간에 따른 전류의 변화도 없어 전자파의 발생이 매우 작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HVDC 기술 선점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HVDC 전력망 확대를 계획하고 있으며 2025년까지 11개 사업에 약 17조 규모의 투자가 예상되고 있다.
HVDC는 높은 전압을 멀리 보내야 하는 만큼 관련 전력기기와 설비에 대한 신뢰성과 안전성이 전제돼야 한다.
우리나라에는 아직까지 HVDC 전력기기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한 전문 시험인프라가 없다.
국내 전력기기 업체들은 그동안 경제적 부담, 납기 지연, 핵심 설계기술의 해외 유출 등의 문제점이 있으나 어쩔 수 없이 해외 시험인증기관을 이용하고 있다.
한편 KERI는 이번에 구축되는 HVDC 시험인프라를 지난해 7월 구축한 ‘KERI-워털루대 창원인공지능연구센터’와 연계해 AI와 빅데이터 기술을 기반으로 기업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시험인증 분석 데이터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