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책연구기관인 산업연구원은 25일 발간한 '2021년 경제산업 전망' 보고서에서 내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3.2%로 제시했다.
올해 전망치는 -0.9%로, 지난 6월보다 1.0%포인트(p) 낮췄다.
보고서는 내년 수출은 각국의 대응력 강화 및 백신 보급으로 코로나19의 영향이 다소 줄어드는 가운데 중국의 경기회복과 주요국 경기부양책의 효과, 기저효과 등에 따라 반등할 것으로 예상했다.
내년 수출과 수입이 각각 올해 대비 약 11.2%, 약 9.6% 증가하고 무역흑자 규모는 올해보다 늘어난 약 521억 달러가 될 것으로 추정했다.
민간 소비는 전년도의 역성장에 따른 기저효과, 코로나19로 이연된 소비 등으로 3%대 증가세를 전망했다.
다만, 가계부채 부담과 임금상승률 둔화 등은 회복세를 제한하는 요인으로 꼽혔다.
설비투자는 코로나19의 장기화와 불확실성에도 반도체 경기회복과 정보통신기술(ICT) 부문의 선제적 투자수요 등을 중심으로 견조한 증가세가 예상했다.
건설투자도 한국판 뉴딜 등 공공인프라와 관련된 정부의 사회간접자본(SOC) 확대 정책 영향으로 반등할 것으로 분석했다.
국내 12대 주력 산업의 내년 수출 전망과 관련, 올해의 기저효과로 인해 비교적 높은 성장률을 보이겠으나 2019년 수준을 회복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연구원은 "올해보다 경기가 회복되겠지만, 세계 수요가 작년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데다 중국 등 후발국과의 경쟁 심화 및 자국 산업 보호 경향 심화 등이 수출에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12대 주력산업의 수출은 올해보다 10.6% 증가하는 가운데 정유(17.6%), 자동차(15.2%), 석화(12.2%) 등이 올해 대비 큰 폭의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했다.
정보통신기기(9.9%), 반도체(13.1%), 이차전지(5.7%)는 지속적인 수요 확대에 힘입어 올해와 더불어 증가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일반기계(6.3%), 철강(7.7%) 등은 중국 등과의 경쟁으로 증가 폭이 제한될 것으로 보인다.
주력산업의 내수는 반도체(5.8%)를 제외하고 일반기계, 정유, 석유화학, 섬유, 정보통신기기, 가전 등 대부분 산업이 5% 미만의 증가세를 기록하며 제한적인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분석했다.
수입은 조선을 제외한 대부분 산업에서 비교적 높은 증가세가 예상되며, 생산은 수출 및 내수 회복에 힘입어 대부분 산업에서 증가할 것으로 보았다.
연구원은 또 내년 국제 유가를 배럴당 47달러 수준, 원·달러 환율을 1110원 내외로 예상했다.
연구원은 "내년에도 코로나19의 영향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해 기업 경영상황이 여전히 어려울 것"이라며 "중국 등 신흥국의 도전 심화, 4차 산업혁명 및 비대면 사회로의 전환에 따른 신산업 출현, 글로벌 가치사슬 변화 등에도 대응하기 위한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