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규모 세계 8위인 우리나라 연간 무역액이 역대 최단기간에 1조 달러를 돌파했다.
10월에 1조 달러를 넘어선 것은 1956년 무역통계를 작성한 이래 처음이다.
10월 26일에 달성해 기존의 역대 최단기 1조 달러 달성 시점인 2018년의 11월 16일보다 21일 빠르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관세청은 26일 전체 무역액이 1조 달러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의 연간 무역액은 2011~2014년과 2017~2019년 총 7차례 1조 달러 이상을 기록했으나 지난해에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1조 달러를 돌파하지 못했다.
이 같은 성과에는 수출 증가 영향이 컸다.
수출액은 지난 20일 5천억 달러를 돌파했으며 올해 안에 6천억 달러를 넘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할 가능성이 높다.
지난 20일까지 주요 수출 품목을 보면 반도체(983억달러), 석유화학(437억달러), 일반기계(416억달러), 자동차(364억달러) 등의 순이다.
반도체에서는 메모리반도체가 슈퍼 사이클을 맞아 단가 강세 속에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했다.
의료용 라텍스, 타이어 등 합성고무 수출 급증에 힘입어 석유화학도 누적 수출액이 작년 동기 대비 56.7% 늘었다.
자동차는 차량용 반도체 수급 차질에도 친환경차와 SUV 등 고부가 차량 수출 선전에 힘입어 31.5% 증가했다.
중소·중견기업의 수출 누적액도 853억 달러로 역대 1위를 차지했다.
K팝과 K콘텐츠 등 한류를 바탕으로 중소·중견기업 수출 비중이 높은 농수산식품, 화장품 등 소비재 품목 수출이 급증했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