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로 해조류와 어류 등의 서식지가 북진하고 난류의 영향을 받는 바다 생물의 종류도 늘었다.
해양수산부는 우리나라 해양생태계를 2개 권역으로 나누고 격년별로 조사한 ‘국가 해양 생태계 종합조사 3주기(2015~2020)’ 결과를 28일 공개했다.
주요 내용은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생태계가 온대성에서 열대와 온대가 혼재된 혼합성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시마·미역 등 갈조류인 온대성 해조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따뜻한 바다에서 서식하는 김·우뭇가사리 등 홍조류인 열대·온대 혼합성 해조류가 남해 서부를 제외한 우리나라 전 해역에서 출현 종수와 분포가 확대됐다.
남해를 중심으로 흐르는 따뜻한 대마난류에 직접 영향을 받는 해역에 출현하는 어류 112종 중 난류 종 어종수가 2015년 52%에서 2020년 70%까지 증가했다.
해저 바닥에 사는 소라, 달랑게, 기수갈고동 등의 서식지도 ‘북진’했다.
2009~2011년 남해안에서 북위 35도까지 서식하는 것으로 관찰된 소라는 최근 북위 37도(울진 부근)까지 서식처를 확대했다.
동해안에 사는 달랑게는 경북 포항에서 경북 울진까지 80㎞, 기수갈고둥은 경북 울진부터 강원 삼척까지 20㎞ 북쪽으로 올라왔다.
해역 출현 해양생물 종수는 7919종으로 2006~2014년까지 확인된 4906종에 비해 61.4%가 증가했다.
기후변화로 바닷물 온도가 높아지면서 해양생물들이 생존할 수 있는 한계선이 북쪽으로 이동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해수부는 기후변화 영향을 더 면밀히 관찰하기 위해 아열대화가 진행되는 것으로 관찰되는 제주도와 남해안 해역에 대한 해양생태계종합조사를 확대할 계획이다.
한편 해양수산부는 지난 6년 동안 서해와 남해 서부는 홀수해에, 동해와 남해 동부, 제주는 짝수해에 각각 3번씩 조사를 했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