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단열경제]이재철 기자
환경부(장관 조명래)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기후변화로 해를 거듭할수록 어려워지는 물 관리 개선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가뭄과 홍수 등에 대비하여 통합 물 관리의 일환으로 발전용 댐의 적극적인활용에 공동 노력키로 하고 1일 환경부 소속 한강홍수통제소와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공기업인 한국수력원자력간 ‘한강수계 발전용댐의 다목적 활용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현재 발전용댐에 저수된 물은 발전 목적으로만 사용하면서 방류되고 있어, 가뭄이나 홍수가 발생할 때 물 이용과 홍수조절에 제한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수도권의 추가용수 수요가 계속 증가하나, 생활‧공업용수를 담당하는 한강수계 다목적댐의 여유물량이 4억㎥ 정도밖에 남지 않아 추가 수원 확보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번 협약으로 ‘발전용 댐을 발전 위주로만 운영하지 않고, 용수공급과 홍수조절 등 다목적으로 활용 한다’는 정부와 공공기관의 효율적 물 관리 의지를 반영한 공동협력 체계가 구축됐다.
발전용 댐 가운데 화천댐은 건설 후 76년간 발전 위주로 운영하다가 간헐적으로 홍수‧가뭄 시 활용돼 왔으나, 앞으로는 평상시에도 다목적 댐처럼 운영하는 계기가 마련됐다.
화천댐을 다목적댐으로 운영할 경우 댐의 수위를 현재보다 높게 유지할 수 있어, 가뭄 시 수도권 지역에 안정적인 용수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에 북한강의 화천댐을 남한강의 충주댐과 연계 운영할 경우, 남한강 수계의 홍수조절능력이 증대돼, 과거 홍수피해를 경험한 남한강과 한강 하류지역의 홍수피해 예방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협약의 주요내용은 ▲정부(한강홍수통제소)는 발전용 댐의 운영계획과 발전용 댐-다목적 댐 간 연계 운영계획 수립 ▲한국수력원자력은 운영계획에 따라 수문조작과 발전용 댐-다목적 댐 간 연계운영 ▲화천‧팔당댐의 시범운영을 통해 용수공급 및 홍수조절 효과 분석 등이다.
양 부처는 발전용 댐의 다목적 활용에 필요한 업무범위, 책임‧권한 등 상호 협력에 필요한 세부사항을 규정하여 협약서에 따라 오는 5월부터 본격적인 운영에 돌입한다.
김동진 환경부 수자원정책국장은 “이번 협약으로 기존 발전 댐의 효율적인 활용으로 장래 수도권 용수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최근 빈번하게 발생하는 가뭄과 홍수 상황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어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 간 물 관리기관 협업으로 통합 물 관리정책의 성과로서도 매우 의미가 크다”라고 밝혔다./이재철 기자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