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폭우
현재의 온실가스 배출 추세가 이어지면 21세기 말 전 지구 평균온도가 지금보다 4도 가량 상승한다는 조사가 나왔다.
또 일부 지역에서는 하루 강수량 800㎜ 이상의 극한 상황도 발생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악셀 팀머만 기후물리 연구단장 연구팀은 미국 국립대기연구센터(NCAR) 복합지구시스템모델(CESM) 그룹과 함께 15개월에 걸쳐 지구시스템모델 대규모 앙상블 시뮬레이션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앙상블 시뮬레이션은 초기 조건을 다르게 가정해 동일한 기후변화 시뮬레이션을 수없이 반복하는 것이다.
공동 연구팀은 최신 지구 시스템 모델을 이용해 1850~2100년 기간의 평균 기후뿐만 아니라 수일 주기의 날씨, 수년 주기의 엘니뇨, 수십 년 주기의 다양한 기후 변동성을 약 100㎞ 공간 해상도로 시뮬레이션했다.
지구를 100㎞ 격자로 나누어 각 격자에서의 기온, 바람 등을 포함한 다양한 기후 관련 변수를 계산한 것이다.
해양 상태와 대기 온도 등의 조건을 조금씩 바꿔가며 시뮬레이션을 100번 반복해 수행했다.
지구에서 나타날 가능성이 있는 기후를 100개로 계산해 본 것이다.
조사 결과 온실가스의 지속적인 배출은 평균적인 기후의 변화뿐만 아니라 생태계의 거의 모든 측면에서 현저한 변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21세기 말에는 전 지구 평균 온도가 2000년 대비 약 4도가 증가하고 강수량의 경우 약 6%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극한 기후 현상의 변화는 평균치 변화보다도 훨씬 크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했다.
열대 태평양 지역에서 일 강수량 100㎜ 이상의 극한 강수 발생 빈도는 현재 대비 21세기 말에는 10배 정도 증가를 예측했다.
또 현재의 기후에서는 발생하지 않는 일강수량 800㎜ 이상의 극한 현상의 발생을 전망했다.
현재 기후에서 평균 반복 주기가 3.5년이던 엘니뇨현상은 21세기 말에는 2.5년으로 짧아지며, 북대서양 플랑크톤 번식량이 현저히 감소할 것으로 보았다.
이번 연구의 제1저자이자 대규모 앙상블 프로젝트의 공동대표인 키스 로저스IBS 기후물리 연구단 연구위원은 “온실가스 배출로 인해 호우·혹서 등과 같은 극한 기후의 강도와 빈도가 변화하는 것은 물론 계절 주기까지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지구 시스템 역학(Earth System Dynamics)’ 9일자에 게재됐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