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단열경제]이재철 기자
우드 맥킨지의 한국 2030년 재생에너지 전력 비율과 전력 구성 변화 예측/연합뉴스제공
한국이 2030년 재생에너지 발전량 목표 20%에 근접하고 수소의 현지 생산 비용도 절반으로 감소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에너지 컨설팅업체 우드 맥킨지는 "한국의 2030년 재생에너지 비중 전망은 19%로, 목표한 20%에 근접한 수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초안에서 2030년 에너지원별 발전량 비중 목표를 석탄 31%, 액화천연가스(LNG) 22%, 원자력 24%, 재생에너지 20% 등으로 제시했다.
우드 맥킨지의 2030년 전망은 석탄 36%, LNG 21%, 원자력 23%, 재생에너지 19%로 재생에너지가 정부 계획보다 1%포인트 낮고, 석탄 발전 비중은 약간 높다.
알렉스 휘트워스 우드 맥킨지 리서치 디렉터는 "한국은 지난해 기준 재생에너지 비중이 7%에 불과하고 풍력과 태양광은 3%에 그치는 등 재생에너지 분야에서 다른 국가들에 비해 속도가 느리다"고 진단했다.
하지만 "그린뉴딜 등 적극적인 정부 지원과 향후 10년간 460억달러 이상의 투자, 발전 비용 감소를 통해 풍력과 태양광의 전력 비중이 13%로 4배 증가하고, 바이오매스 및 다른 재생에너지 비중이 6%를 차지하면서 목표한 20%에 근접한 19%를 달성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국의 2030년 재생에너지 비중에 대한 우드 맥킨지의 이번 전망은 작년 3월 분석 때 제시한 17%보다 2%포인트 높아진 것이다.
우드 맥킨지는 한국에서 재생에너지의 발전 비용이 빠르게 하락해 2030년까지 28% 이상 감소하고, 2025년까지 화석연료보다 저렴해질 것으로 예상했다.
알렉스 휘트워스 리서치 디렉터는 “2030년에는 새로운 발전용 태양광 및 육상 풍력은 석탄 화력보다 비용이 20% 더 낮아지고, 해상 풍력 및 유틸리티 규모 태양광 모두 가스 화력보다 저렴해질 것이다”이라며 “2030년 이후 한국은 보조금 없는 재생에너지 투자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또 "한국은 일본이나 호주보다 최종 사용자 요금이 낮은 수준"이라며 "재생에너지 비율이 커지더라도 비용이 감소함에 따라 전력 요금은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 정부의 원전 축소 방침에도 감축하는 정도가 그렇게 크지 않고, 재생에너지로의 대체가 천천히 이뤄지면서 비용이 계속 낮아질 것이기 때문에 전력 요금에 큰 변동이 없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우드 맥킨지는 2050년까지 수소 사회를 실현한다는 정부 목표에 대해 "2030년까지 친환경 수소의 현지 생산 비용이 50% 감소하면서 한국의 수소경제 활성화 전략이 탄력을 받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프라카쉬 샤르마 우드 맥킨지 리서치 디렉터는 "친환경 수소의 가장 큰 과제는 화석연료보다 최대 4배에 이르는 비용이지만, 이는 2030년까지 점차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는 "현재 세계 5위의 수소 시장인 한국은 올해 수소 수요가 444만t에 달할 것"이라며 "수소경제의 장기적인 목표를 달성하려면 수소 인프라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와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