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집 지역 이산화탄소와 퇴적물의 중요한 저장고 역할도
스페인 바르셀로나대 연구팀이 바다에 버려지는 플라스틱 오염을 막는데 지중해의 한 해초가 도움이 될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연구팀은 2018년부터 2019년까지 2년간 스페인 마요르카섬에 있는 해변 4곳에서 해초의 표본에 들어있는 플라스틱 양을 조사했다.
포시도니아 오세아니카(P. 오세아니카)라는 해초는 가을철 폭풍 등의 영향으로 잎줄기가 떨어져 나와 해안으로 떠밀려온다.
이 가운데 뿌리줄기 일부까지 떨어져 나와 서로 엉키면서 이른바 ‘넵튠 볼’(Neptune ball)이라고도 불리는 공 모양을 형성한다.
연구팀이 수집한 잎줄기 표본 50%에서 플라스틱 파편이 발견됐으며 1㎏당 플라스틱 개수는 최대 613개로 확인됐다.
플라스틱 형태는 대부분 파편(61%)이지만 알갱이(33%)와 발포 고무(2.9%) 형태도 상당수 발견됐다.
성분은 폴리에틸렌(PE·50.5%), 폴리프로필렌(PP·32%), 폴리염화비닐(PVC·6.9%) 순으로 나타났다.
플라스틱 크기는 0.55~287㎜로, 평균 9.08㎜였다.
넵튠 볼 표본 17%에는 서로 다른 크기의 플라스틱도 뒤엉켜 있었다.
죽은 해초 잔해 1㎏당 플라스틱이 최대 1470개가 발견됐으며 이런 형태에 플라스틱이 더 쉽게 제거되는 것을 의미한다.
가장 많은 것은 필라멘트·섬유(64%)였고 파편(21%)과 필름(8.1%), 발포 고무(5.4%) 형태로 나타났다.
성분은 폴리에틸렌 테라프탈레이트(PET·35%), PE(21%), PP(13%), 폴리아미드(PA·10.8%), PVC(10.8%) 순으로 나타났다.
크기는 1.05~59.02㎜, 평균 9.48㎜였다.
이런 플라스틱은 식품 포장지나 병뚜껑, 식기류, 화장품 또는 의류 등 일상 용품에서 나온 것으로, 물고기와 바닷새 그리고 해양 포유류의 생명을 위협한다.
연구팀은 이번 자료를 이 해초 목초지에서 매년 발생하는 넵튠 볼 개수를 추정해 매년 8억6700만 개가 넘는 플라스틱 조각을 걸러낼 수 있다고 예상했다.
연구 책임저자인 안나 산체스비달 교수는 “이 해초 목초지는 해양 플라스틱 오염을 막는데 도움이 될 수도 있다”면서 “이번 발견으로 환경 기관들이 이런 해초 목초지의 보존을 위해 긴급 조치를 취하도록 장려하길 기대 한다”고 지적했다.
P. 오세아니카는 암컷과 수컷의 유전자를 임의로 섞는 양성생식과 달리 자신과 똑같은 유전자를 복제해 증식하는 단성생식도 한다.
일부 복제 개체는 15㎞의 거리에 걸쳐 분포하며 나이는 무려 12만5천년에 이른다는 것이 최근 연구에서 밝혀지기도 했다.
해초의 군집 지역은 플라스틱을 포획해 제거하는 이런 역할 외에도 이산화탄소와 퇴적물의 중요한 저장고이자 많은 해양 동물이 새끼를 키우는 지역으로도 유명하다.
지중해에서만 서식하지만 포시도니아속에 속하는 비슷한 해초들은 호주 등 연안의 얕은 바다에도 살고 있다.
이들 종 역시 플라스틱을 없애는 순기능이 있는지는 연구를 통해 확인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 최신호에 실렸다.
사진=지중해 해초와 엉켜서 생긴 넵튠 볼(작은 사진)/바르셀로나대 제공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