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분산형 전원 발전 비중 상향 및 수도권 집중 전력수요 분산 유도

전력·원자력 / 안조영 기자 / 2021-07-01 16:58:06
수도권 ‘전력수요 밀집 지역’ 지정, 신규 진입 기업 등에 ‘전력계통 영향평가’ 실시키로


정부가 분산형 전원 발전 비중을 상향하는 한편 수도권에 집중된 전력수요의 분산을 유도할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30일 제23차 에너지위원회를 열고 ‘분산에너지 활성화 추진전략’ 안건에 대한 논의를 가졌다.
정부는 앞서 재생에너지, 연료전지 등 분산형 전원 발전 비중을 2040년까지 30%로 올리는 목표를 내세운 바 있다.
분산형 전원은 전력이 소비되는 지역 인근에 설치해 송전선로 건설을 최소화할 수 있는 40MW 이하의 모든 발전설비 또는 500MW 이하의 집단에너지, 자가용 발전설비 등을 뜻한다.
수도권에 집중된 전력 수요의 분산에도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전력수요의 집중은 계통포화로 인해 신규 송전선로 증설, 발전설비 투자가 필요하지만 주민 반대 등 사회적 갈등을 야기할 가능성이 크다.
국내 데이터센터 전력수요의 69%는 수도권에 몰려있다.
정부는 수도권을 ‘전력수요 밀집 지역’으로 지정하고, 신규로 진입하는 기업이나 공장 등에 대한 ‘전력계통 영향평가’를 실시하기로 했다.
환경영향평가처럼 사업자가 전력 수급을 어떻게 할지 방안을 마련해 제시하라는 것이다.
정부와 한전·전력거래소가 참여하는 전문 심의위원회가 과부하·전압 등 기술적 요소와 사회적 수용성, 발전기의 송전손실 규모, 지역 내 친환경 에너지 비중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게 된다.
반면 전력수요 밀접지역 이외의 지역에 입주하면 수전용 송전설비 구축비용 일부 지원 및 한시적 특례요금 적용 등 인센티브를 고려하고 있다.
정부는 재생에너지 변동성을 완화할 수 있게 통합관제시스템을 구축하고, 공공이 주도해 에너지저장장치(ESS)도 구축할 계획이다.
과잉 생산되는 제주 지역에 재생에너지 150MW를 추가 수용할 수 있는 ESS 23MWh를 연내 구축할 예정이다.
2023년까지는 1조 원 가량을 들여 신남원변전소 등 예비력 확보가 시급한 12개 변전소에 총 1천265MWh ESS를 구축한다.
재생에너지로 생산해 남는 전력을 열이나 가스, 운송 부문 등 다른 에너지원으로 전환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제주 지역 호텔, 병원 등 에너지를 많이 쓰는 사업장에 열에너지 전환 설비를 설치할 수 있게 지원하는 시범사업을 실시할 예정이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