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단열경제]정두수 기자
지구 온난화로 인해 올해 9월이 지구 역사상 가장 더웠던 9월로 기록됐다.
기상청이 최근 발표한 미국 해양대기청(NOAA) 자료에 따르면 올해 9월의 지구 평균기온은 역대 같은 달 중에서 가장 높았다.
9월 기준으로 지구 평균기온 상위 1∼10위를 차지한 해는 모두 2005년 이후다.
지구 온난화의 추세를 반영 하듯이 상위 7위까지가 최근 7년에 몰려 있다.
1∼9월의 지구 평균기온 기록도 2016년에 이어 올해가 가장 높았다.
여기에 지난 9월의 북반구는 역대 세 번째로 높았다.
코로나19로 전 세계적 경제활동 위축 등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이 일시적으로 감소했지만 점차 이전 수준을 회복하고 있는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가 코로나19 사태 이후에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온난화의 영향을 그대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9월의 평균기온은 평년과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올해 1∼9월 평균기온은 2016년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지구 평균온도의 변화 추이와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가 큰 시간의 범위에서는 지구 전체와 기온 상승 흐름을 함께 하지만 작은 시간 범위에서는 기온 변동성이 컸던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세계적 추세와 마찬가지로 1∼9월 평균 기온 상위 1∼10위 중 5위(1998년)를 제외하고는 모두 2004년 이후에 나타났다.
특히 상위 4위까지가 2018년을 제외한 지난 5년(2016∼2020년)에 몰렸다.
기상청은 올해 우리나라의 4월과 7월의 평균기온이 상층 찬 공기의 영향으로 크게 떨어졌지만 여전히 상위를 기록한 달이 많아 높은 기온의 추세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