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 건설업 등 주요 10개 업종의 민간 산업부문의 청렴수준에 대한 진단이 올해 처음으로 이뤄진다. 또 개별기업이 스스로 청렴경영을 측정할 수 있는 '자가진단 모형'도 제공된다.
국민권익위원회는 민간 산업부문의 자율적인 반부패‧청렴 노력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처음으로 올해 민간 산업부문의 청렴수준 진단을 실시해 12월 말 결과를 도출할 계획이라고 3일 밝혔다.
이번 진단은 산업부문의 청렴수준을 정확히 측정하면서도 민간에 규제나 새로운 부담이 아닌 예방 검진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중점을 둘 예정이다.
진단은 개별기업 단위가 아니라 제조업, 건설업, 도·소매업, 운수업, 금융·보험업, 전문서비스업 등 10여개 내외의 주요 산업분야로 유형화해 분야별 청렴 수준을 측정한다.
국제 평가기관이 사용하고 있는 국제기준을 적용해 민‧관에서 산업부문에 대해 생산하는 기존 자료와 설문조사 등을 통해 얻은 다양한 자료를 종합해 청렴수준 진단결과를 도출할 계획이다.
앞서 국민권익위는 지난해 민간부문 중 규모와 영향력이 큰 산업부문의 청렴수준을 체계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진단모형을 개발했다.
부패실태 지수는 △거래관계 부패 △회계 등 관리활동 부패 △공정거래 및 사회적 공익가치 위반 등을, 부패방지 지수는 △기업공시 등 투명성 △책임경영 △반부패 예방을 위한 시스템 구축 및 활동 등을 측정한다.
임윤주 국민권익위 부패방지국장은 "이번 산업부문 청렴수준 진단이 앞으로 민간의 자율적인 청렴노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산업부문의 자체적인 청렴노력을 강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