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소외 지역 18개 마을 지원하는 경기도
[에너지단열경제]김슬기 기자=현 정부 출범 이후 탈원정 정책이 빠르게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에너지자립마을’ 조성 사업 역시 전국에서 가속화되고 있다.
22일 서울시, 경기도 등에 따르면 각 시·도는 ‘에너지자립마을’ 확대에 힘쓰고 있다.
‘에너지자립마을’ 조성 사업은 서비스가 상대적으로 낙후된 도시가스 미공급지역에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설치를 지원함으로써 전기요금 절감은 물론 마을발전사업 추진 등을 통해 에너지 복지 실현을 이루기 위해 추진됐다.
![]() |
▲ 연합뉴스 제공 |
◆ 서울시, ‘에너지자립마을 2.0’…“생산 전기 주민이 수익 거둔다”
먼저 서울시는 현재 100곳에 이르는 에너지자립마을을 오는 2022년까지 50곳으로 더 늘리겠다고 밝혔다.
특히 기존의 공모를 받아 시가 지정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앞으론 마을센터, 서울형주민자치회 등이 참여해 공동체를 공모한다.
자급자족에 그치지 않고 마을에서 생산한 전기를 판매해 주민이 수익을 거두도록 돕는 방안 역시 추진된다. 마을 주민과 기업, 전문가가 협력해 수익모델을 개발하면 시가 사업비를 지원하거나 저리에 빌려주는 내용이다.
수익모델을 만들어낸 곳은 오는 2022년까지 ‘에너지자립혁신기구’로 조성할 방침이다. 그에 대한 사업 범위와 지원 규모는 올해 안으로 가이드라인이 나올 것으로 시는 밝혔다. 더불어 신기술을 도입해 마을 맞춤형 비즈니스를 개발하는 곳도 올해 상반기부터 2022년까지 10곳을 발굴해 지원할 계획이다.
시는 해당 사업에 총 119억 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 경기도, 에너지 ‘자급자족’ 마을 18곳 확대
경기도 역시 올해 도시가스가 들어오지 않는 11개 시군 18개 마을에 에너지자립마을을 조성한다고 밝혔다.
도는 올해 사업비 40억 원을 투입해 고양, 화성 등 11개 시군 18개 마을에 연간 1930.3㎾ 규모의 태양광 시설 설치를 지원할 방침이다.
양평군 양덕리마을 60가구·무왕2리마을 58가구, 파주 백연리마을 54가구, 광구 학동1리 45가구, 포천 마산리·양주 하패1리 각 38가구 등이 해당된다. 태양광은 자가용(1605㎾), 상업용(325.3㎾)으로 나눠 설치된다. 개인주택에는 자가설비를 설치해 전기요금을 절감하고, 마을회관 등에는 상업용을 설치해 난방비 및 주민 복지사업 운영 등에 사용하도록 할 예정이다.
◆ '에너지자립마을 조성' 사업 시동거는 광주시
광주시는 지난 14일 ‘2019년 에너지자립마을 조성 사업’ 협약식을 진행했다.
시는 앞서 작년부터 에너지 이용 서비스의 상대적 낙후지역 문제 해소를 위해 곤지암읍 건업리를 시작으로 에너지자립마을 조성을 추진해왔다.
광주시는 “앞으로도 에너지 비용 절감 및 재생에너지 보급확대, 에너지복지실현 등을 적극 추진한다”고 밝혔다.
한편 현 정부는 앞서 지난 2017년 원전을 줄이는 등 에너지전환 정책을 천명하며 이를 위해선 에너지자립마을·아파트가 많이 생겨나야 한다고 당부한 바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정부는 원전 등을 줄이고 신재생에너지를 늘려나가겠다는 에너지 정책의 대전환을 추진하고 있다”며 “정책이 성공하려면 에너지자립마을과 에너지자립아파트가 많이 생겨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