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脫원전으로 일자리 잃을 판’…두산重노조 넉달째 ‘상경투쟁’

전력·원자력 / 김슬기 / 2019-07-26 17:52:24
“원전 폐기로 분야 종사자 ‘고용불안’” 강력 규탄
대책 마련 촉구 위한 시위·청원서 등 넉 달째 계속
전국금속노동조합 경남지부 두산중공업지회는 지난 24일 낮 12시 세종시 산업통상자원부 앞에서 정부의 에너지 정책 전환에 따른 대책 촉구 대정부 규탄대회를 열었다./ 금속노조 제공

 

[에너지단열경제]김슬기 기자=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대한 원자력 설비 생산업계의 고용불안 호소가 넉 달 동안 지속되고 있는 모습이다. 현재 두산중공업 노동자들은 원전 건설 계획 폐기로 인한 일자리 박탈에 당국 대책을 강력 촉구하고 있다.

26일 전국금속노동조합 등에 따르면 금속노조 경남지부 두산중공업지회는 현재 일자리 창출 대책, 지역경제 부양 방안, 안전성과 경쟁력 있는 원전관련 기술력 유지와 확보를 위한 정책대안 등을 청와대, 지방자치단체, 각 정당에 청원서와 진정서를 통해 요구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120차례 넘게 경남도청과 창원시청 앞에서 1인시위를 이어오고 있다.

두산중공업지회는 앞서 지난 24일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 앞에서 ‘대책 촉구 대정부 규탄대회’를 연 바 있다.

이들은 “정부가 에너지 정책을 급진적으로 전환하고 예정되었던 원자력 발전소 건설계획을 아무런 후속 대책 없이 무산시켜 두산중공업 및 발전설비 제조업에 종사하는 노동자들의 고용불안과 창원지역 경제를 위기로 내몰았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따라 “일자리 창출 대책을 요구하고, 지역경제 부양 방안과 안전성과 경쟁력 있는 원전 관련 기술력 유지 및 확보를 위한 정책대안을 촉구한다”라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 3월 28일에도 금속노조 두산중공업지회는 서울 정부종합청사 앞에서 에너지 정책 전환에 따른 노동자의 고용문제와 지역경제 위기를 제기하고 급진적 에너지 정책에 대한 책임 있는 대책을 정부에 촉구하고 나섰었다.

또 지난달 18일에는 산업부 정책 보좌관을 면담하고 정부 대책을 거듭 요구하고 나선 바 있다.

현재 이에 대해 산업부는 형식적인 답변만 내놓고 있는 상태로 알려졌다.

두산중공업지회는 “자본과 지자체는 무엇이 두려운지 쉽게 나서지 않으려 하고 있다”라며 “ 두산중공업지회 조합원과 확대 간부는 지역경제와 발전설비 노동자의 고용안정을 위해 투쟁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원자력 발전용 핵심부품을 생산하는 두산중공업은 정부의 탈원전 정책 발표 이후 매출이 감소하는 등 경영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노조에 따르면 경영악화의 영향으로 두산중공업의 정규직은 7728명에서 작년 7284명으로 줄었으며 사내협력업체 직원도 1171명에서 1002명으로 감소했다. 사무관리직원 3000여 명에 대해선 순환휴직이 진행 중이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