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단열경제]안조영 기자
전기차 확대와 산업 부문의 전력사용 증가로 2040년 전기수요는 지금보다 30% 가량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의 '2019 장기 에너지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전기수요는 연평균 1.3% 증가해 2040년에는 700.4TWh(테라와트시)에 이를 것으로 예측됐다.
부문별 연평균 예상 증가율은 산업 1.4%, 수송 6.5%, 가정 0.7%, 서비스(상업 및 공공) 1.3%이다.
보고서는 정부의 친환경 자동차 보급 확대 정책에 힘입어 전기 소비가 가장 빠르게 증가해 수송 부문에서 증가율이 가장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전체 전기 수요 중 산업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 53.9%에서 2040년에는 54.5%로 소폭 올라간다.
산업 부문 중 조립금속과 석유화학은 연평균 각각 1.7%와 2.2% 늘어나지만 철강은 연평균 0.8%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
전기 수요는 늘어나지만 증가 폭은 크게 둔화한다.
2020년부터 2040년까지 연평균 증가율을 1.3%로 예상했다.
2000년부터 2018년까지 연평균 증가율 4.5%와 비교하면 29% 수준이다.
경제발전과 함께 빠르게 증가해온 전기소비는 2010년을 전후해 증가세가 완만해졌다.
2011년 지역별 순환 정전을 계기로 강력한 수요관리 정책을 시행하면서 건물 부문을 중심으로 한 전기 소비 증가율은 급감했다.
보고서는 정부의 꾸준한 수요 관리 정책,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전기 효율성 증가, 경제성장과 전력화 속도 둔화 등의 영향으로 전기수요 증가율이 완만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전기 수요 증가는 석유와 가스 등 1차 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을 늘릴 수 밖에 없다ㅣ.
전기를 사용하는 것은 소비자 입장에서는 매우 간편하지만 전력화 과정에서 손실이 크고 화석연료에서 나오는 온실가스도 많이 배출된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